서브메뉴
검색
불투명성의 현상학
불투명성의 현상학
- Material Type
- 단행본
- ISBN
- 9788976826992 93160 : \19,800
- DDC
- 142.7-20
- Callnumber
- 142.7 조15ㅂ
- Author
- 조광제
- Title/Author
- 불투명성의 현상학 / 조광제 지음
- Publish Info
- 서울 : 그린비(그린비출판사), 2023
- Material Info
- 295 p. ; 23 cm
- 총서명
- 철학의 정원 ; 053
- General Note
- 2023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교육부 우수학술도서임
- General Note
- 기증 : 대한민국학술원
- 서지주기
- 참고문헌 수록
-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 독일 철학[獨逸哲學]
-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 현상학[現象學]
- Price Info
- \19,800
- Control Number
- joongbu:636542
- 책소개
-
『불투명성의 현상학』은 후설부터 하이데거, 마르셀, 사르트르, 메를로-퐁티, 레비나스, 리쾨르, 데리다까지 8명의 유력한 현상학자들의 사유를 ‘존재의 불투명성과 심연’이라는 화두로 엮어 독자적 논의를 전개한다.
현상학이란 무엇인가? 저자에 따르면 현상학은 불투명한 존재를 적발하고 그것이 왜 불투명할 수밖에 없는가를 밝히는 철학적 사유이다. 그렇다면 불투명성이란 무엇인가? 불투명성은 이성으로 대표되는 투명함, 명증함과 대조된다. 그것은 존재에 대한 ‘인식’의 근원적인 불가능성과 ‘존재’의 무한 깊이의 심연 두 가지를 오가며 작동한다. 결국 우리의 인식은 존재의 근원적인 불투명성을 다만 명시적으로 확인할 뿐이며, 이때 ‘존재의 불투명성에 대한 명증한 인식’이라는 역설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 불투명한 사태를 확인하는 계기가 곧 사물과 감각의 굳건한 결합, ‘감각 사물’을 통해서다. 감각 사물은 주체와 동떨어져 존재하는 순수 객관적인 사물도, 주체의 감각적 관념의 결과물만도 아닌 존재이다.
Detail Info.
- Reservation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My Fol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