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고통의 곁에 우리가 있다면 : 재난 트라우마의 현장에서 사회적 지지와 연결을 생각하다
고통의 곁에 우리가 있다면 : 재난 트라우마의 현장에서 사회적 지지와 연결을 생각하다 / 채정...
ข้อมูลเนื้อหา
고통의 곁에 우리가 있다면 : 재난 트라우마의 현장에서 사회적 지지와 연결을 생각하다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91186118726 03810 : \18,000
DDC  
361.3-20
청구기호  
616.8521 채74ㄱ
저자명  
채정호
서명/저자  
고통의 곁에 우리가 있다면 : 재난 트라우마의 현장에서 사회적 지지와 연결을 생각하다 / 채정호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생각속의집, 2023
형태사항  
327 p. ; 21 cm
서지주기  
주: p. 322-327
기금정보  
이 책은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의 '2022년 중소출판사 출판콘텐츠 창작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국민체육진흥기금을 지원받아 제작되었음
키워드  
사회적돌봄 외상성신경증 트라우마 PTSD
가격  
\18,000
Control Number  
joongbu:628029
책소개  
코로나19, 이태원 참사, 재난 …
고통은 우리를 어떻게 바꿔놓는가
“트라우마는 일상의 모든 연결을 끊어놓는다.”

최근 이태원 참사를 겪으며 트라우마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다. 트라우마는 어원이 ‘뚫다’ ‘뚫리다’의 의미로 마음에 구멍이 뚫릴 만큼 극심한 고통을 말한다. 흔히 죽음이나 죽을 뻔한 위협, 심한 부상, 성폭행 등을 겪으며 트라우마를 경험한다.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창립회장인 채정호 서울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스트레스는 힘들어도 원래 자기 모습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많지만, 트라우마는 여기에 너무 압도되기 때문에 사건 이후 다른 삶을 살게 된다”고 말한다. 정신건강 분야의 유명한 역학연구 미국공존질환조사에 따르면, 미국 남성의 60.7%, 여성의 51.2%가 살면서 한 번 이상의 트라우마를 겪는다. 이제는 누구라도 트라우마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는 의미다.
채정호 교수는 지난 37년간 성수대교 붕괴, 천안함 피격, 삼풍백화점 붕괴, 세월호 침몰 등 숱한 사회적 재난을 지켜보며 트라우마의 고통이 우리사회에 번져가고 있음을 확인했다. 특히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 유행 시기에도 많은 사람들이 트라우마에 노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심리방역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말한다. 실제로 그는 연구를 통해 감염병이 정신적 문제까지 영향을 미친다고 이야기한다. 메르스 중동호흡기증후군 환자 63명을 2년간 관찰한 연구에 따르면, 이 병을 앓고 나서 만성피로를 느꼈던 사람은 자살에 대해 더 많이 생각했다.
채정호 교수는 코로나19가 트라우마로 다가온 이유를 ‘안전감의 상실’에서 찾는다. 실제로 코로나19 동안 대부분의 사람은 안전감이 크게 위축되면서 모든 것을 의심하고 주의해야 했다. 그것은 개인과 사회의 긴장 수준을 높이며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렸다. 즉, 언제 감염될지 모른다는 불안감에 일상생활을 제한하고, 사람과의 만남도 꺼리면서 사회에서 자신을 고립시켰다. 채정호 교수는 이러한 사회적 고립은 ‘코로나 블루’(코로나 우울증)와 같은 부정적인 정서를 확산시키며 개인의 인지, 행동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고 말한다.
New Books MORE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ค้นหาข้อมูลรายละเอียด

  • จองห้องพัก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โฟลเดอร์ของฉัน
วัสดุ
Reg No. Call No. ตำแหน่งที่ตั้ง สถานะ ยืมข้อมูล
EM0400424 616.8521 채74ㄱ 충청캠퍼스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EM0400425 616.8521 채74ㄱ c.2 충청캠퍼스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จองมีอยู่ในหนังสือยืม เพื่อให้การสำรองที่นั่งคลิกที่ปุ่มจองห้องพัก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Related books

Related Popular Books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