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다문화사회 지역사회와 사회통합
다문화사회 지역사회와 사회통합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67250933 93330 : \17,000
- DDC
- 303.482-20
- 청구기호
- 303.482 배14ㄷ
- 저자명
- 배경임
- 서명/저자
- 다문화사회 지역사회와 사회통합 / 배경임 ; 순덕기 지음.
- 발행사항
- 고양 : 공동체, 2022
- 형태사항
- 281 p. ; 24 cm
- 서지주기
- 참고문헌 수록
- 일반주제명
- 다문화(문화)[多文化]
- 일반주제명
- 지역 사회[地域社會]
- 일반주제명
- 사회 통합[社會統合]
- 기타저자
- 순덕기 , 1969-
- 가격
- \17,000
- Control Number
- joongbu:659795
- 책소개
-
한국의 다문화사회 형성은 우리보다 앞서 다문화사회를 경험한 국가들에 비해 진행된 시간이 짧으며 다문화사회 형성 배경도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도 지역사회 생활세계를 중심으로 사회통합이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 다른 가치와 문화를 가진 다양한 민족과 인종이 함께 살아가는 공존의 사회는 일상의 삶이 이루어지는 지역사회 공간을 통해 형성될 때 사회통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으로 지역사회의 생활세계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다문화사회 사회통합은 무엇보다 선주민의 다문화사회 이해와 협조가 전제되어야 한다. 함께 살아가는 사회는 기존의 문화와 가치를 지속해 온 선주민이 이주민과 상호성을 가지고 변화시켜 나가야 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가려는 노력 없이는 형성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다문화사회 형성 초창기 한국사회는 이주민의 사회적응을 통해 사회통합을 강조해 왔다. 그러나 한국의 다문화정책에 점차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교육부가 2007년 공교육 과정에서 다문화이해를 범교과적 주제로 포함시키는 등 사회 전체의 변화를 요청하는 방향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아직 다문화사회 이해가 사회 저변의 다양한 부문의 시민사회교육의 영역으로 확장되어 가는 데에는 시간과 노력이 필요해 보이며, 함께 살아가야 할 한국사회의 바람직한 변화를 위해 진행해 온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연구들 역시 앞으로도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詳細情報
- 予約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私のフォル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