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확장학습 연구 : 아직 존재하지 않는 것에 대한 학습
확장학습 연구 : 아직 존재하지 않는 것에 대한 학습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25418490 93370 : \20,000
- 언어부호
-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eng
- DDC
- 371.39-20
- 청구기호
- 371.39 E57s한
- 저자명
- Engeström, Yrjö , 1948-
- 서명/저자
- 확장학습 연구 : 아직 존재하지 않는 것에 대한 학습 / Yrjö Engeström 지음 ; 한숭희 ; 최근정 ; 김다슬 엮음.
- 기타표제
- [원표제]Studies in expansive learning : learning what is not yet there
- 발행사항
- 파주 : 교육과학사, 2024.
- 형태사항
- 367 p : 삽화 ; 24 cm.
- 주기사항
- 부록: 제7장 변화실험실 세션에서의 확장 학습 행동들
- 서지주기
- 참고문헌(p.339-363)과 색인 수록
- 기타저자
- 한숭희 , 1961-
- 기타저자
- 최근정
- 기타저자
- 김다슬
- 기타저자
- 엥게스트룀, 위리외 , 1948-
- 가격
- \20,000
- Control Number
- joongbu:656787
- 책소개
-
이 책은 3부 10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부의 세 장에서는 확장학습 이론을 학습과학의 한 분야로 위치시키는 한편(1장), 이 이론의 성격을 학습의 프로세스 이론(process theory of learning)으로 특성화하며(2장), 이런 경향으로 연구되어 온 세계 여러 지역에서 수행되어 온 확장학습이론의 여러 경험들을 검토한다(3장).
제2부의 4-8장에서는 다양한 조직 환경에서 일어난 확장학습의 경험 연구들을 소개하고 있다. 여기에는 은행, 하이테크 제조 회사 및 1차 의료기관(4장), 중학교(5장), 병원 수술팀(6장), 대학 도서관(7장) 및 두 군데 또 다른 1차 의료기관들(8장)의 사례들이 포함되어 있다.
제3부의 마지막 두 장에서는 확장학습의 새로운 문제상황과 가능성에 관한 논의를 담았는데, 즉 느슨하고 빠르게 확산되는 “들불 활동(wildfire activities)” 확장학습(제9장) 및 확장학습을 촉발하고 지원하기 위한 형성적 개입 방법론(methodology of formative interventions) 등이 다루어진다.
각 장에는 확장학습 이론을 풍부하게 발전시킬 수 있는 개념적이고 방법론적인 발전방안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아이디어들이 서로 더해지면서 이른바 확장학습 이론 발전의 근접발달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을 구성하는 로드맵이 만들어질 수 있다.
Info Détail de la recherche.
- Réservation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My Fol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