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한류 : 문화자본과 문화내셔널리즘의 형성
한류 : 문화자본과 문화내셔널리즘의 형성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63244112 93300 : \22,000
- DDC
- 306.40951-20
- 청구기호
- 306.40951 김54ㅎ
- 서명/저자
- 한류 : 문화자본과 문화내셔널리즘의 형성 / 김성윤 [외] 지음.
- 기타표제
- [표지표제]韓流
- 기타표제
- [대등표제]Korean wave
- 기타표제
- [기타표제]2023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예술한류 전통예술 선도사업
- 발행사항
- 성남 : K'ARTS, 2023
- 형태사항
- 359 p. ; 23 cm
- 주기사항
- 공지은이: 김수아, 박미영, 백원담, 이동연, 이동준, 이종임, 이지행, 이해수, 정종은, 조영신, 하승우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 358-359
- 서지주기
- 서지적 각주 수록
- 일반주제명
- 문화 사업[文化事業]
- 기타저자
- 김성윤
- 기타저자
- 김수아
- 기타저자
- 박미영
- 기타저자
- 백원담
- 기타저자
- 이동연
- 기타저자
- 이동준
- 기타저자
- 이종임
- 기타저자
- 이지행
- 기타저자
- 이해수
- 기타저자
- 정종은
- 기타저자
- 조영신
- 기타저자
- 하승우
- 가격
- \22,000
- Control Number
- joongbu:654162
- 책소개
-
한류 역사 30년, 한류 성과의 이면 들여다보기
1990년대 중반 한국의 대중문화가 중국 본토에서 큰 인기를 얻으면서 중국 미디어가 그 현상을 ‘한류’라고 명명한 이래 30년의 역사가 흘렀다. 지난 30년의 역사적 변천 속에서 한류는 다양한 형태와 규모로 진화했다. 2010년 이후 한류는 이제 K-팝, K-시네마, K-드라마, K-웹툰 등 문화콘텐츠 시장에서 차별화된 글로벌 브랜드로 명성을 얻었고, 이후에 음식, 패션, 뷰티 등 일상의 라이프스타일 영역까지 확대되었다. 그사이 한류의 글로벌 인지도는 아시아에서 유럽과 북미, 남미로 확대되어 한국의 국가 브랜드 이미지가 크게 상승할 정도로 상징적 힘을 발휘했고, 세계 문화콘텐츠 시장에서도 6-7위권을 형성할 정도로 그 규모가 급증했다.
그동안 많은 국내 미디어는 한류의 역사적 진화, 문화적 확산에 대해 ‘한류의 위대함’으로 과잉보도하는 경향이 많았다. 그러나 한류의 성과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와 합당한 자부심을 가지는 것만큼 한류 성과의 이면을 들여다보는 것도 중요하다. 새로운 문화 지배소로서 한류가 지속가능한 조건과 환경을 갖기 위해서는 객관적이고 냉정한 분석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한류 30년의 역사를 성찰하는 시점에서 한류의 외형적 성과와 현상 속에 구조화된 문화적 특성이 무엇인가를 간파하는 학문적 고찰은 그런 점에서 매우 긴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