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한국 공교육체제론 : 이론적 기저와 제도적 대응
한국 공교육체제론 : 이론적 기저와 제도적 대응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61265599 93370 : \25,000
- DDC
- 370.951-20
- 청구기호
- 370.951 손75ㅎ
- 저자명
- 손종현
- 서명/저자
- 한국 공교육체제론 : 이론적 기저와 제도적 대응 / 손종현 지음.
- 발행사항
- 파주 : 양성원, 2023
- 형태사항
- 383 p. ; 26 cm
- 일반주제명
- 교육 철학[敎育哲學]
- 일반주제명
- 공교육[公敎育]
- 전자적 위치 및 접속
- 로그인을 한후 보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 가격
- \25,000
- Control Number
- joongbu:654140
- 책소개
-
이 저서는 참여정부 교육혁신위원회 재직 당시의 이론적 고민과 연구물, 그 이후 필자가 학회에 게재한 여러 논문, 그리고 새로 정리한 글을 새로 편집·구성한 것이다. 이 저서의 내용은 평소 필자가 가진 교육학적 소신을 적은 것이다. 이 저서는 4개의 부(part)에 14개의 장(chapter)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교육의 ‘현장성 위기’ 진단, 패러다임 전환의 이론적 기저, 교육체제 전환을 위한 제도적 대응책, 진단에 대한 처방책으로서 교사 책임교육체제 정립이 그것이다.
Ⅰ부에서는 공교육의 현장성 위기를 중심으로 이 저서의 전반적인 문제의식을 드러내고자 했다. 이 저서의 총론으로서. 전국단위 교육질서와 그 교육체제의 구조적 모순을 쟁점화 할 필요를 언급하고 있다.
제1장은 공교육의 현장성 위기가 무엇인가에서부터 문제를 제기하여 전국단위 교육질서의 모순구조, 전국단위 교육질서가 산출하는 교육체제의 성격을 밝히고 있고, 교육질서 전환의 향방과 연구내용을 개진하고 있다.
Ⅱ부는 공교육 패러다임 전환의 이론적 기저로서 공교육체제 관련 이론, 철학, 역사, 접근방식, 정책방향, 지식기반사회의 시대적 요청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논의는 교육질서 전환을 위한 제도적 시스템 구축의 개념적 이론적 단초가 될 것이다.
제2장은 공교육체제 전환의 이론적 기저로서 人材교육의 논거를 밝히고자 하는 바, 존 듀이의 人材교육론의 윤곽을 드러내고, 거기서 ‘근본’ 교육질서에 대해 숙고하고 있다.
제3장은 인재교육론으로서 듀이의 경험철학을 논구하는바, 그가 개념화한 인간의 존재방식, 인간경험의 힘에 대한 신뢰, ‘삶의 주체’ 교육론을 논의하고 있다.
제4장은 한국사회의 근·현대 공교육의 역사를 개관하고 있다. 근·현대 100년사를 통해, 전국단위 교육질서가 고착되었음을 드러내고 있고, 향후 역사적 요청으로서 새로운 교육질서로 교체되어야 함을 밝히고 있다.
제5장은 공교육에 대한 탐구방법으로서 ‘교육적 타당성 물음’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하고 있다. 교육적 타당성 물음이란 무엇이며 그것에 정합하는 교육체제의 성격은 무엇이어야 하는지를 논의하고 있다.
제6장은 공교육체제 전환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바, 접근방식의 전환과 함께 공교육체제 개혁 정책의 프레임을 구체적으로 적시하고자 했다. 그러면서 고교 교육과정 이력과 대학 전공교육목적을 선발의 지표로 삼는 가능성의 세계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제7장은 지식기반사회란 무엇이며 그것에 정합하는 교육적 방식이란 무엇인지를 논의하고, 지식기반사회의 시대적 요구에 대응하는 교육적 방식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이어야 하는지를 논의하고자 했다. 여기서 학생들 개인의 개성적 자기 관심사를 추구하는 것이 교육의 엄중성을 위반하지 않는다는 것과 학교를 진로교육기관으로 만드는 교육적 방식이 미래 교육사회 구성의 핵심이라는 것을 논증하고 있다.
Ⅲ부에서는 교육질서 전환의 제도적 대응책으로서, 경쟁과 선발의 시스템, 교육과정 정책, 학교체제 정책, 수업혁신 정책, 교사 정책 등을 다루고 있다. 연구의 각론으로서 교육체제, 학교체제, 교육과정, 교육방법이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가에 대해 논의한다. 물론 각 장에서 연구자가 풀어야 할 문제가 무엇이며 어떻게 풀어야 하는가에 대해 분명히 드러내고자 한다.
제8장은 경쟁시스템과 선발시스템의 전환에 대해 논의하는바, 이론적 배경과 구체적 전환 방법론을 논의하고 있다.
제9장은 교육과정 정책에 대해 구체적 논의를 하고 있는바, 교육과정 자율과 교육과정목표 완성을 견인하는 방식의 교육체제를 구축해야 한다는 것을 논의하고
있다. 이 논의에서 학교수준과 교사수준의 교육과정 자율의 필요와 의의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제10장은 ‘학교 교육력’의 개념과 작동 원리에 대해 다루고 있다. 교육력 개념의 이론적 기저와 그 구성요소, 그 구조의 작동 원리 등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제11장은 교육체제 혁신의 한 하위 영역으로서 교실수업의 형식이 어떻게 전환해야 하는가를 보여주고자 했다. 주제몰입의 교육적 경험이 무엇인지, 이것을 어떻게 프로그래밍 할 것인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여기서 창의성 학력을 키우는 주제몰입 경험의 프로그래밍이 국가경쟁력의 교육적 방식임을 주장하고 있다.
제12장은 새로운 교육질서와 연관된 교사론에 해당하는 장으로서, 교사의 지성적 대응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교사의 존재방식과 헌신성, 교육기획력 개념, 교육활동 기획의 전문성, 전문성 발휘의 조건에 대해 논의하였다.
Ⅳ부는 지역단위 교육질서의 정립과 그것의 내포로서 교사 책임교육체제의 정립에 대해 다루고 있다.
제13장에서는 ‘교사 책임교육’을 정의하고, 책임교육에 대응하는 교사의 교육활동에 대해 구체화하고자 했다.
제14장에서는 이 저서의 종장(終章)으로서 지역단위 교육질서의 정립에 대해 새삼 다루고 있다. 새로운 교육질서로서 지역단위 교육질서가 필요한 이유와 목적을 살피고, 그 교육질서가 기능하여 만들어내는 교육 관념, 교육제도 운영의 시스템,학교체제의 성격에 대해 다루고 있고, 책임교육체제의 작동 원리에 대해 다루고 있다.
Buch Status
- Reservierung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Meine Map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