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공유성장을 위한 대학체제 대전환을 위하여) 한국 대학체제의 새판 짜기
(공유성장을 위한 대학체제 대전환을 위하여) 한국 대학체제의 새판 짜기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63722045 93370 : \18,000
- DDC
- 378.1-20
- 청구기호
- 378.1 반52ㅎ
- 저자명
- 반상진 , 1960- , 潘相振
- 서명/저자
- (공유성장을 위한 대학체제 대전환을 위하여) 한국 대학체제의 새판 짜기 / 반상진 지음.
- 발행사항
- 전주 : 전북대학교출판문화원, 2023
- 형태사항
- 205 p. : 삽화, 도표 ; 23 cm
- 서지주기
- 참고문헌 수록
- 일반주제명
- 대학 개혁[大學改革]
- 일반주제명
- 대학 경영[大學經營]
- 일반주제명
- 대학 정책[大學政策]
- 전자적 위치 및 접속
- 로그인을 한후 보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 가격
- \18,000
- Control Number
- joongbu:654136
- 책소개
-
우리나라 교육대전환은 대학체제를 새판짜는 작업에서 출발해야 한다. 그 이유는 두 가지이다. 첫째, 한국 교육문제의 블랙홀인 초 극단화된 대학 서열구조와 학벌 구조, 교육 양극화 문제를 반드시 해결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중심의 이른바 명문대학에 못지않은 일류대학의 저변을 지역에 확대함으로써 지역마다 질 높은 대학체제를 구축하는 좋은 대학 서열화 조성을 위한 제도적 대전환을 모색해야 한다. 학벌에 의한 지위 권력과 공간 권력의 균형화를 위해 공유성장을 위한 대학체제 대전환 방안이 사회개혁의 핵심고리로 작용해야 한다.
둘째, 코로나 팬데믹 위기, 경제위기, 건강위기, 인구절벽에 따른 생산연령인구 양적 감소와 그에 따른 초 양극화와 저성장의 늪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그리고 4차 산업혁명과 연대ㆍ협력사회로 전환됨에 따라 대학체제를 대 전환하는 새로운 도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기존 대학의 경쟁체제를 대학 간 연계ㆍ협력체제로 전환해 상생 발전과 질적 상향평준화 등 대학구조의 체질 변화와 대학들이 함께 성장하는 새로운 미래지향적 대학경쟁력 패러다임을 재설계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초로 ‘공유성장을 위한 대학체제 대전환’을 제안하고, 그에 대한 기본 구조로 1) 국가책임 대학지원체제 구축, 2) 공유성장형 대학연합체제 구축, 3) 성장 지향 대학진단체제 구축 등으로 제시하였다. 가보지 않은 새로운 길이다. 예측과 논리로 설명할 수 없는 미래라고 한다면 그리고 고정관념에서 벗어난 새로운 사고(thinking out- side the box)가 필요한 교육대전환 시대에 살고 있다면, ‘미래를 대비한 교육(education for the future)’이 아닌 ‘미래를 창조하는 교육(education creating the future)’이 되도록 새로운 도전이 필요한 시대임을 함께 고민 해 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