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북한 정권과 북한군
북한 정권과 북한군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87861676 93390 : \19,800
- DDC
- 320.9518-20
- 청구기호
- 320.9518 변52ㅂ
- 저자명
- 변상문
- 서명/저자
- 북한 정권과 북한군 / 변상문 지음.
- 발행사항
- 하남 : 청미디어, 2024.
- 형태사항
- 408 p. : 천연색삽화 ; 23 cm.
- 주기사항
- 부록: 제1장 제주 4·3 사건 ; 제2장 여·순 10·19사건
- 일반주제명
- 북한 정권[北韓政權]
- 일반주제명
- 북한군[北韓軍]
- 가격
- \19,800
- Control Number
- joongbu:653529
- 책소개
-
북한은 국가가 아니다. 정권이다.
대한민국과 대등한 위치에서 통일해야 할 대상이 아니다.
북한 주민과 분리하여 솎아 내 제거해야 할 대상이다.
북한 정권을 관통하는 단어는 〈허위(虛僞)〉이다.
모든 것을 거짓으로 꾸민 체제다.
이 ‘허위’는, 허업(虛業), 허망(虛妄), 망망(亡望)이라는 말을 낳았다.
북한 여군은 수시로 성폭행당하고 있다.
임신하면 불법 의료시설에서 잘못된 낙태 시술로 목숨을 잃기도 한다.
북한 인구는 2,500만여 명이다.
이 중, 900만 명에 가까운 수가 북한군이다.
GOP 지역에 4개 군단 70만여 명이 전진 배치돼 있다
이 책은 다음과 같은 일곱 가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대한민국 속 북한 정권이라는 관점에서 썼다. 북한 정권을 대한민국과 대등한 위치에서 통일해야 할 대상이 아니라 북한 주민들로부터 분리하여 솎아 제거해야 할 대상으로 보았다.
둘째, 북한 정권 태동기였던 1945년 8월 15일(수요일)부터 1949년 6월30일(목요일)까지의 역사와 사건을 박헌영 서열 1위, 김일성 서열 2위라는 관점으로 평가했다. 조선공산당은 1925년 4월 설립되었다. 코민테른 지시에 의거해 1928년 12월 해체되었다가, 1945년 9월 재건되었다. 당 책임비서는 박헌영이었다. 재건된 조선공산당은 1946년 11월 서울에서 허헌의 조선신민당, 여운형의 조선인민당과 합당하여 남조선로동당으로 규모를 키웠다.
셋째, 북한군 생활 실상과 인권 실태를 북한군 출신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인터뷰한 내용으로 구성했다. 특히 북한군 인권에 대한 신뢰도 제고를 위해 통일부 발간 〈2023 북한 인권〉 문서를 바탕으로, 북한인권정보센터에서 출판한 북한군 인권 실태 보고서인 〈군복 입은 수감자〉에서 인용했다.
넷째, 북한군 도발 사례를 북한 정권 내부 동향과 연계하여 분석했다.
북한군은 ① 위장평화 공세 시 도발했다. 6·25전쟁, 청와대 기습 미수 사건, 울진 삼척지구 무장 공비 침투 사건, 땅굴 침투, 제1·2연평해전 등이 대표적 사례다. ② 권력 공고화를 위한 새로운 통치이념 등장 시 도발했다. 김정일 시기 강릉 잠수함 무장 공비 침투 사건, 김정은 시기 지뢰 도발 등이 대표적 사건이다. ③ 백두혈통으로의 권력 세습 시 도발했다. 김정일은 공식 후계자로 등장하면서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을, 김정은은 후계자로 등극하면서 천안함 피격 사건과 연평도 포격전을 도발했다. 김정은 딸 김주애가 2022년에 등장했다. 김주애가 시사하는 것은 또 다른 고강도 도발일 것이다.
다섯째, 북한군 군사 위협을 미래에 초점을 맞추었다. 북한군이 2022년 42회에 걸쳐 72발의 미사일을 발사하고, 우리 군이 설정한 전술조치선 이남으로 북한 공군기가 집단으로 도발한 사례를 분석했다.
여섯째, 북한 교육과 문화 분야에서 지금까지 선행연구에 없는 내용을 발굴하여 썼다는 점이다. 먼저 교육 분야에서는 북한 고급중학교 역사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3·1운동과 임시정부, 이순신과 안중근을 철저하게 혁명적 수령관으로 폄훼한다는 사실을 지적했다. 문화 분야에서는 ‘북한에는 국악이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것을 밝혔다. 북한에 국악이 없다는 것은 최초의 학술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일곱째, 강연에서 가장 많이 받은 질문 10개를 소개한다. ① 죽은 김일성이 지금도 북한을 통치하는지 여부 ② 쿠데타 가능성 ③ 최고사령관 국무위원장 당 중앙군사위원장의 관계 ④ 건군절과 선군절 차이 ⑤ 뇌물 등 부조리 실태 ⑥ 혁명열사릉과 애국열사릉 차이 ⑦ 장마당과 장마당 세대의 특징 ⑧ 북한군 수뇌부 인사 분석 ⑨ 김정은 사망 시 권력 세습 문제 ⑩이승만 대통령과 김일성의 친일파 청산 실상 등이다.
Подробнее информация.
- Бронирование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моя папк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