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성리학의 한국적 수용과 전개
성리학의 한국적 수용과 전개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25418018 94370 : \23,000
- ISBN
- 9788925418001(세트)
- DDC
- 181.162-20
- 청구기호
- 181.162 김52
- 서명/저자
- 성리학의 한국적 수용과 전개 / 김상현 편집.
- 발행사항
- 파주 : 교육과학사, 2023
- 형태사항
- 491 p. ; 25 cm
- 총서명
- Eastern philosophy series
- 총서명
- 대한철학회 학술총서 ; 01
- 주기사항
- 공동저자: 장윤수, 임종진, 박학래, 이기훈, 정대환, 김상현, 이향준, 유명종, 이동희, 송인창, 홍성민, 오종일, 김길환, 문석윤, 이영찬
- 일반주제명
- 성리학
- 일반주제명
- 격물치지[格物致知]
- 일반주제명
- 경세 사상[經世思想]
- 일반주제명
- 정주학[程朱學]
- 일반주제명
- 주자학[朱子學]
- 기타저자
- 김상현
- 기타저자
- 장윤수
- 기타저자
- 임종진
- 기타저자
- 박학래
- 기타저자
- 이기훈
- 기타저자
- 정대환
- 기타저자
- 이향준
- 기타저자
- 유명종
- 기타저자
- 이동희
- 기타저자
- 송인창
- 기타저자
- 홍성민
- 기타저자
- 오종일
- 기타저자
- 김길환
- 기타저자
- 문석윤
- 기타저자
- 이영찬
- 통일총서명
- Eastern philosophy series
- 통일총서명
- 대한철학회 학술총서 ; 01
- 전자적 위치 및 접속
- 로그인을 한후 보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 가격
- \23,000
- Control Number
- joongbu:653517
- 책소개
-
대한철학회 학술총서 동양철학 분야의 제1권인 이 책의 주제는 ‘성리학의 한국적 수용과 전개’라는 제목을 통해서 짐작할 수 있듯이, 중국의 성리학이 우리나라에 어떤 과정을 통해 수용되었고, 그렇게 수용된 것이 우리의 내부에서 어떻게 정착되어 발전되었는지, 그리고 그것이 시대적 변화 속에서 어떻게 변모되었는지에 관한 것이다. 한국 사회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사상은 단연 유가 사상, 특히 그중에서도 성리학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을 건국한 사대부들이 성리학적 사유를 근간으로 하여 조선을 수립하였고, 성리학적 이념을 바탕으로 조선을 이상적인 국가로 만들고자 했다는 사실을 통해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렇듯 고려 말에 우리 땅으로 들어온 성리학은 60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우리에게 매우 강한 영향력을 행사해왔다.
우리 선조들은 성리학적 질서 속에서 태어나 성장하였으며, 성리학적 텍스트를 읽고 공부하면서 성리학적 이상사회를 만들고자 노력했으며, 성리학적 예법에 따라 생을 마감했다. 이렇듯 성리학은 우리 선조들의 삶과 분리될 수 없을 만큼 깊이 연관되어 있다. 그러므로 성리학적 사유를 이해하지 못하고서는 우리 전통 사회의 온전한 모습과 그 속에 담긴 특성을 이해할 수 없다. 그런데 과거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지 못한다면, 현재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정확한 원인 규명이 불가능하고, 현재 발생하는 문제를 적절하게 해결하지 못한다면 더 나은 미래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러한 이유에서 우리의 전통 사상인 성리학적 사유에 대한 탐구는 반드시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