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언어유형론 관점에서 본 한국어 내포절과 접속절
언어유형론 관점에서 본 한국어 내포절과 접속절 / 문숙영 지음.
ข้อมูลเนื้อหา
언어유형론 관점에서 본 한국어 내포절과 접속절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88957339053 94710 : \42,000
ISBN  
9788989103004 (세트)
DDC  
415-20
청구기호  
411.5 문56ㅇ
저자명  
문숙영 , 1971- , 文璹永
서명/저자  
언어유형론 관점에서 본 한국어 내포절과 접속절 / 문숙영 지음.
발행사항  
파주 : 아카넷, 2023
형태사항  
820 p. ; 23 cm
총서명  
대우학술총서 ; 646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기금정보  
대우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 및 출간되었음
일반주제명  
한국어 문법[韓國語文法]
일반주제명  
언어 유형[言語類型]
통일총서명  
대우학술총서 ; 646
가격  
\42,000
Control Number  
joongbu:652310
책소개  
한국어 밖의 시각에서 본 한국어 절의 보편성과 특수성

한국어 문법 안에서의 위상, 다른 언어들과의 차이 등
한국어 절에 대한 언어유형론 관점의 연구 집약

이 책은 언어유형론의 관점에서 한국어의 내포절과 접속절의 특징을 탐구하는 책이다. 책에서 본격적으로 다룬 대상은 관형사절, 명사절, 부사절, 접속절, 인용절이다. 언어유형적인 논의가 모든 종류의 절에 대해 고루 이루어진 것이 아니므로, 사안에 따라 몇몇 언어와의 대조에 기대기도 했다. 따라서 엄밀히 말하면 이 책은 언어 대조 및 유형론에 바탕을 둔, 한국어 절의 보편성과 특수성에 대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지은이 문숙영 교수(서울대)는 10여 년 넘게 지속한 한국어 절에 대한 연구를 이 책에 집약했다. 언어유형론을 공부할수록, 세계 언어학계에 유통되는 한국어 기술이 제한적이고 일부 부정확하며, 이 중에서 특히 한국어의 절은 교착어 기술의 정교화와 절 유형론의 수립을 위해 본격적으로 소개될 필요가 있다는 확신이 들었기 때문이다. 이에, 지은이는 한국어 관계절의 특수성, ‘것’ 명사절의 성립, 부사절과는 구별되는 종속접속절, 단어와 절의 구분과 관련된 접사와 어미의 문제를 각각 한 편씩 논문으로 다루었다. 또한 의존적인 구성이 독립절로 발달하는 탈종속화 현상, 인용절의 화시어 전이 현상, 인용의 일종이면서 문학의 서사기법인 자유간접화법을 다룬 글도 한 편씩 썼다. 이 책은 그간 써 온 이런 논문들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New Books MORE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ค้นหาข้อมูลรายละเอียด

  • จองห้องพัก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โฟลเดอร์ของฉัน
วัสดุ
Reg No. Call No. ตำแหน่งที่ตั้ง สถานะ ยืมข้อมูล
EM0409831 411.5 문56ㅇ 충청캠퍼스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EM0411148 411.5 문56ㅇ c.2 고양캠퍼스 기증도서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จองมีอยู่ในหนังสือยืม เพื่อให้การสำรองที่นั่งคลิกที่ปุ่มจองห้องพัก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Related books

Related Popular Books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