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플랫폼 변동의 시대 : 미디어 생산연구로의 초대
플랫폼 변동의 시대 : 미디어 생산연구로의 초대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92090207 93300 : \28,000
- DDC
- 302.23-20
- 청구기호
- 302.23 이18ㅍ
- 저자명
- 이기형 , 1961- , 李淇炯
- 서명/저자
- 플랫폼 변동의 시대 : 미디어 생산연구로의 초대 / 이기형 ; 황경아 지음.
- 발행사항
- 서울 : Culture Look(컬처룩), 2023
- 형태사항
- 399 p. ; 23 cm
- 총서명
- 방송문화진흥총서 ; 231
- 서지주기
-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 일반주제명
- 매체[媒體]
- 일반주제명
- 저널리즘[journalism]
- 기타저자
- 황경아 , 1978- , 黃景牙
- 통일총서명
- 방송문화진흥총서 ; 231
- 전자적 위치 및 접속
- 로그인을 한후 보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 가격
- \28,000
- Control Number
- joongbu:652282
- 책소개
-
미디어 생산연구로 탐색하는 저널리즘 활동과
문화 노동 및 플랫폼 변환의 함의
현재 거대 플랫폼들이 빚어내는 정경은 현실 개입의 강한 동력과 함께, 가속화된 속도로 우리의 삶과 감각을 재구성하며 압박하고 있다. 이른바 ‘넷플릭스 효과’로 상징되는 다양한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필두로, 기존의 미디어 영역을 넘어서 금융, 이동, 배달 등 모빌리티와 관련된 새로운 사회ㆍ기술적 구조의 중핵으로서 플랫폼의 역량과 영향이 빠르게 확산이 되고 있다.
이러한 거센 플랫폼 변동의 시대에 이 책은 기성 레거시 미디어와 저널리즘의 역할 및 구성적 특성을 내부 구성원들이 전개하는 활동과 이들이 구축한 ‘조직의 문법’ 및 ‘생산문화’의 사례를 중심으로 집중력 있게 탐구한다. 즉 저자들은 미디어가 관여된 다양한 활동상과 조직의 운영 및 관행에 관한 대안적인 탐구와, 특히 저널리즘 관련 기존의 정책과 산업 중심의 연구에서 간과된 쟁점을 주의 깊게 조명한다. 이들은 신문과 방송 그리고 영상과 1인 미디어 등을 주요 대상으로 삼아, 해당 분야의 내부에서 전개되는 주목할 활동과 이해관계, 노동과 위계화의 특징, 그리고 외부자들이 충분히 인지하지 못하는 이면을 ‘생산연구production studies’라는 특화된 문제의식으로 촘촘하게 풀어낸다.
동시에 저자들은 다양한 언론 조직과 미디어의 내부에서 구현되는 전문화된 기획과 노동의 단면을 세밀하게 조명하고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작업이 거대 플랫폼 변환의 시대에도 여전히 긴요하다는 점을 주창한다. 특히 이 저작은 이른바 ‘초연결 사회’가 대두하고, 광활하고 생산적인 효과만을 주로 강조하는 플랫폼의 지배적 목소리에서 스러지거나 주목받지 못하는 ‘노동(권)’과 권력 작용의 측면을 생산연구의 렌즈로 신중하게 탐구한다.
[플랫폼 변동의 시대 미디어 생산연구로의 초대]는 현재 전개되는 플랫폼 중심의 거대 변환 과정에서, 다양한 독자들이 공유하고 숙고해야 할 미디어 조직의 변화상과 창의적 혁신에서 불안 노동에 이르는 복합적인 단면을 성찰적으로 조감한다. 그런 일련의 노력으로 저자들은 미디어 연구가 격변의 시대에 여전히 지향할 필요가 큰 공적인 문제의식과 다면적인 진단 및 진중한 대안을 모색한다.
Подробнее информация.
- Бронирование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моя папка
Reg No. | Количество платежных | Местоположение | статус | Ленд информации |
---|---|---|---|---|
EM0409928 | 302.23 이18ㅍ | 충청캠퍼스 대출실 | 대출가능 |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EM0411119 | 302.23 이18ㅍ c.2 | 고양캠퍼스 기증도서 | 대출가능 |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 Бронирование доступны в заимствований книги. Чтобы сделать предварительный заказ, пожалуйста, нажмите кнопку бронировани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