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대전환 시대 지역의 위기와 희망
대전환 시대 지역의 위기와 희망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58988852 93300 : \16,000
- DDC
- 307.14-20
- 청구기호
- 307.14 차38ㄷ
- 저자명
- 차미숙 , 1964- , 車美淑
- 서명/저자
- 대전환 시대 지역의 위기와 희망 / 차미숙 ; 조은주 ; 최예술 ; 강민석지음.
- 발행사항
- 세종 : 국토연구원, 2023
- 형태사항
- 305 p. : 삽화(주로천연색), 도표 ; 24 cm
- 총서명
- 우리 국토·정책 시리즈 ; 8
- 주기사항
- 공저자: 조은주, 최예술, 강민석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 295-303
- 기타저자
- 조은주
- 기타저자
- 최예술 , 1989-
- 기타저자
- 강민석
- 통일총서명
- 우리 국토·정책 시리즈 ; 8
- 가격
- \16,000
- Control Number
- joongbu:652074
- 책소개
-
지역의 위기와 희망을 가져올 전환적 이슈에
진정한 지역발전의 방향을 제시하다
우리 지역은 언제나 그렇듯 또 위기에 처해 있다. 위기의 속성과 강도, 그리고 속도가 다를 뿐이다. 인구성장에서 인구감소 시대로, 기술 발달과 디지털 전환의 시대로, 탄소중립과 그린전환 시대로, 저성장과 혁신성장 시대로, 국제질서 전환과 지방분권 시대 등 거대한 전환의 흐름이 전개되고 있다.
《대전환 시대 지역의 위기와 희망》에서는 지역을 둘러싼 중대한 전환적 이슈로 인구감소 전환, 디지털 전환, 그린 전환, 혁신 전환, 분권 전환을 꼽고, 이를‘퀸터플 트랜지션(Quintuple Transition)’이라 통칭하였다. 그리고 전환적 이슈가 지역에 초래할 영향과 이슈를 현재의 시점에서 미래를 예상하고 정책 전환을 제안하였다. 특히 국민 1,000명과 전문가들과 함께 지역의 위기와 희망, 그리고 정책 전환에 대한 의견을 담았다.
전환적 이슈들은 지역이 처한 여건에 따라 단독으로 혹은 복합적으로, 그리고 상이한 속도와 강도로 영향을 줄 것이다. 지역의 적응 및 대응 능력 여하에 따라 위기로 작용할 수도 있고, 새로운 지역의 장을 만드는 모멘텀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대전환의 흐름 속에서 지역이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지역의 10년, 20년 혹은 그 이상의 미래 모습이 결정될 것이다.
그동안 당연시 여겨왔던 지역발전정책 목표와 수단들은 더 이상 유효하지도 효과적이지도 않게 되었다. 이제 거스를 수 없는 대전환의 흐름 하에서 지역이 생존하고 번영을 누리기 위해서는 새로운 지역발전 정책 방향과 실천 전략의 재정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高级搜索信息
- 预订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我的文件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