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네트워크 국제정치 : 국가의 변환과 거버넌스
네트워크 국제정치 : 국가의 변환과 거버넌스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58905040 93340 : \28,000
- DDC
- 327-20
- 청구기호
- 327 민44ㄴ
- 저자명
- 민병원
- 서명/저자
- 네트워크 국제정치 : 국가의 변환과 거버넌스 / 민병원 지음.
- 기타표제
- [원표제]Network international politics
- 발행사항
-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문화원, 2023
- 형태사항
- 334 p. ; 23 cm
- 주기사항
- 찾아보기: p. 328-334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 302-326
- 서지주기
- 서지적 각주 수록
- 가격
- \28,000
- Control Number
- joongbu:652069
- 책소개
-
네트워크 패러다임을 통해 국제정치의 복잡한 상호 관계를 새롭게 분석하다
국제정치학은 사회과학 중에서도 가장 광범위하면서 복잡한 학문이라 할 수 있다. 그런 만큼 국제정치 이론도 난립해 왔고 또한 지속적으로 발전해 가고 있다. 가장 포괄적인 범위에 걸쳐 있는 학문 체계이니만큼 다른 학문에서 도입된 개념이나 이론적 도구도 많이 존재하는데 그중 네트워크 개념과 이론은 자연과학, 특히 수학과 물리학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일찍이 경제학이나 사회학, 인류학에 이러한 네트워크 이론이 도입되었지만, 정치학과 국제정치학에는 상대적으로 뒤늦게 알려지기 시작했다. 이 책은 이러한 상황에서 국제정치를 이해하는 데 네트워크 개념과 이론이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국가의 변환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특히 저자는 연구의 방법론과 인식론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국제정치의 핵심적인 행위자와 현상을 네트워크로 이해하겠다는 존재론적 목표를 강조한다.
총 8장으로 구성된 이 책은 먼저 1장에서 네트워크 이론과 패러다임이 사회과학에서 갖는 의미를 알아보고, 네트워크라는 구조적 개념이 도입됨으로써 나타나는 패러독스 현상과 예측 불가능성에 대해 살펴본다. 2장에서는 역사 속에 본격적으로 등장한 제국의 네트워크가 지닌 속성을 정치적 측면에서 살펴보고, 3장에서는 세계화의 추세 속에서 성장해 온 네트워크 국가의 모습을 검토하고, 이것이 국민 국가와 비교해 어떻게 달라진 것인지 고찰한다. 4장에서는 네트워크적 속성을 갖는 국가 유형을 네트워크 국가로 규정하고, 국가의 역할에 생겨난 변화를 메타거버넌스의 개념을 중심으로 논한다. 이어지는 5장에서는 네트워크 국가에서 한 발 더 나아간 형태의 정치 체제로서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양태에 대해 다룬다. 또한 이러한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전형적인 사례로 유럽연합을 소개하고, 회원국들 사이에 이견을 조정하고 협력을 도모하기 위한 ‘개방형 정책 조정OMC’을 집중 조명한다. 6장은 이상의 논의 내용을 취합해 전통적인 국가론 논쟁 속에서 새로운 네트워크 국가가 어떻게 자리매김할 수 있는지, 또한 네트워크 국제정치의 맥락에서 어떠한 정치적 의미를 갖는지 되새겨 보고, 이를 바탕으로 7장에서는 동아시아 지역의 평화를 추구하는 데 네트워크 거버넌스 개념이 어느 정도 적용 가능한지를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8장에서는 네트워크 패러다임의 도입을 통해 기존의 국제정치학에 어떤 변화를 기대할 수 있는지를 전체적으로 조망해 본다.
지난 몇십 년간 네트워크 국가의 등장을 중심으로 하는 네트워크 행위자와 무대로서의 국제정치의 변화를 들여다본 이 책을 통해, 네트워크 패러다임이 전통적인 국제정치 이론에 어떤 자극과 통찰을 제공할 수 있을지 가늠해보는 기회를 갖게 되기를 기대해본다.
소장정보
- 예약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나의폴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