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한국 종교학 : 성찰과 전망
한국 종교학 : 성찰과 전망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66291821 94100 : \35,000
- ISBN
- 9798997472321 (세트)
- DDC
- 200.9519-20
- 청구기호
- 200.951 정78ㅎ2
- 저자명
- 정진홍
- 서명/저자
- 한국 종교학 : 성찰과 전망 / 정진홍 [외] 지음.
- 기타표제
- [기타표제]2024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교육부 우수학술도서
- 발행사항
- 서울 : 모시는사람들, 2024
- 형태사항
- 591 p. ; 23 cm
- 총서명
- 종교문화비평총서 ; 12
- 주기사항
- 공저자: 김태연, 장석만, 이진구, 임현수
- 서지주기
-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일반주제명
- 한국 종교[韓國宗敎]
- 일반주제명
- 종교사[宗敎史]
- 기타저자
- 김태연
- 기타저자
- 장석만
- 기타저자
- 이진구
- 기타저자
- 임현수
- 통일총서명
- 종교문화비평총서 ; 12
- 가격
- \35,000
- Control Number
- joongbu:652030
- 책소개
-
한국에서 종교학이 성립되는 과정과 그 배경을 살펴 한국의 종교학의 특징을 규명하고, 그 현재의 의미를 파악하며, 한국의 종교학의 전망을 검토한다. 이로써 학문의 장은 물론 사회-문화 전반에서, 특히 종교에 대한 그리고 사회 각 부문에 대한 종교학의 위치, 의미, 효용에 관한 논의를 진작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해 종교학의 출현과 전개, 세계 종교학의 현황, 한국 종교학의 등장과 전개, 미래를 심도 있게 고찰한다. 그 과정 내내 한국 종교학의 정체성을 탐색하는 일을 함께한다. 종교학의 각 부문별 전공자들이 2년여에 걸쳐 치열하게 전개한 공동 연구 작업은 한국의 종교학을 글로벌한 경관 안에서 찾아 그 모습을 그려 보인다. 이로써 근대의 출현과 함께 시작된 한국 종교학의 성과를 이어, 탈-근대, 포스트휴머니즘의 도래에 직면한 한국 사회와 한국 종교학의 과제와 미래 전망을 도출해 낸다. 이 책은 한국 종교학이라고 하는 학술적인 주제의 연구서로만이 아니라, 다종교사회인 한국에서의 사회문화를 통찰하는 지혜를 제공한다.
MARC
008241120s2024 ulk b 001a kor■020 ▼a9791166291821▼g94100▼c\35,000
■020 ▼a9798997472321 (세트)
■035 ▼a(KERIS)BIB000016927227
■082 ▼a200.9519▼220
■090 ▼a200.951▼b정78ㅎ2
■1001 ▼a정진홍
■24510▼a한국 종교학 ▼b성찰과 전망▼d정진홍 [외] 지음.
■24613▼a2024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교육부 우수학술도서
■260 ▼a서울▼b모시는사람들▼c2024
■300 ▼a591 p. ▼c23 cm
■49010▼a종교문화비평총서▼v12
■50000▼a공저자: 김태연, 장석만, 이진구, 임현수
■504 ▼a참고문헌과 색인수록
■650 7▼a한국 종교[韓國宗敎]▼2NLSH
■650 7▼a종교사[宗敎史]▼2NLSH
■7001 ▼a김태연
■7001 ▼a장석만
■7001 ▼a이진구
■7001 ▼a임현수
■830 0▼a종교문화비평총서▼v12
■9500 ▼b\35,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