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秦漢帝國의 지정학 : 인프라, 영역지배의 변천
秦漢帝國의 지정학  : 인프라, 영역지배의 변천 / 금재원 지음.
秦漢帝國의 지정학 : 인프라, 영역지배의 변천

상세정보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88963475776 94910 : \36,000
DDC  
951.01-20
청구기호  
952.3 금73ㅈ
저자명  
금재원
서명/저자  
秦漢帝國의 지정학 : 인프라, 영역지배의 변천 / 금재원 지음.
기타표제  
[대등표제]Geopolitics of the Qin-Han Empire
발행사항  
과천 : 진인진, 2023
형태사항  
368 p. : 삽화,지도,표 ; 24 cm
총서명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HK+사업단 연구총서 ; 6
서지주기  
참고문헌: 361-368
일반주제명  
지정학
일반주제명  
진시대
주제명-지명  
중국사
주제명-지명  
한시대
통일총서명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HK+사업단 연구총서 ; 6
가격  
\36,000
Control Number  
joongbu:652018
책소개  
‘지정학적 역동성’을 기축으로 진한제국의 형성과 전개 및 내부구조를 심층적으로 분석한 학술서 『秦漢帝國의 지정학 - 인프라, 영역지배의 변천』이 발간되었다. 2019년부터 HK+ 지원사업으로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이 진행하고 있는 ’동아시아 기록문화의 원류와 지적 네트워크 연구’ 사업의 성과로서, 해당 연구사업단이 지속적으로 발간해 온 연구총서 6권이다.

『秦漢帝國의 지정학 - 인프라, 영역지배의 변천』은 역사의 내면에 관통하는 인적 물적 역량과 이를 생산, 결집, 유통, 환류시키는 동학인 지정학에 주목하여 400년간 존속된 진한제국의 생명력 저변에 존재하는 지정학적 장기지속성의 내용을 소개한다. 이 책의 관점에 의하면 진제국은 새로운 시대의 창립이 아닌 과도기로서, 전국시대에 구축된 지정학적 결과이며 한나라 초기의 군국제 역시 전국시대 진나라에 의해 형성된 지정학적 국면이 연장되는 과정으로 설명된다.

MARC

 008241120s2023        ggkabd                000a    kor
■020    ▼a9788963475776▼g94910▼c\36,000
■035    ▼a(KERIS)BIB000016897316
■0820  ▼a951.01▼220
■090    ▼a952.3▼b금73ㅈ
■1001  ▼a금재원
■24510▼a秦漢帝國의  지정학  ▼b인프라,  영역지배의  변천▼d금재원  지음.
■24611▼aGeopolitics  of  the  Qin-Han  Empire
■260    ▼a과천▼b진인진▼c2023
■300    ▼a368  p.  ▼b삽화,지도,표▼c24  cm
■49010▼a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HK+사업단  연구총서▼v6
■504    ▼a참고문헌:  361-368
■541    ▼a2024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교육부  우수학술도서
■650  8▼a지정학
■650  8▼a진시대
■651  8▼a중국사
■651  8▼a한시대
■830  0▼a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HK+사업단  연구총서▼v6
■9500  ▼b\36,000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신착도서 더보기
    관련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나의폴더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EM0409896 952.3 금73ㅈ 충청캠퍼스 보존서고(웅재관109호)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EM0410982 952.3 금73ㅈ c.2 고양캠퍼스 기증도서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