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秦漢帝國의 지정학 : 인프라, 영역지배의 변천
秦漢帝國의 지정학 : 인프라, 영역지배의 변천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63475776 94910 : \36,000
- DDC
- 951.01-20
- 청구기호
- 952.3 금73ㅈ
- 저자명
- 금재원
- 서명/저자
- 秦漢帝國의 지정학 : 인프라, 영역지배의 변천 / 금재원 지음.
- 기타표제
- [대등표제]Geopolitics of the Qin-Han Empire
- 발행사항
- 과천 : 진인진, 2023
- 형태사항
- 368 p. : 삽화,지도,표 ; 24 cm
- 총서명
-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HK+사업단 연구총서 ; 6
- 서지주기
- 참고문헌: 361-368
- 일반주제명
- 지정학
- 일반주제명
- 진시대
- 주제명-지명
- 중국사
- 주제명-지명
- 한시대
- 통일총서명
-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HK+사업단 연구총서 ; 6
- 가격
- \36,000
- Control Number
- joongbu:652018
- 책소개
-
‘지정학적 역동성’을 기축으로 진한제국의 형성과 전개 및 내부구조를 심층적으로 분석한 학술서 『秦漢帝國의 지정학 - 인프라, 영역지배의 변천』이 발간되었다. 2019년부터 HK+ 지원사업으로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이 진행하고 있는 ’동아시아 기록문화의 원류와 지적 네트워크 연구’ 사업의 성과로서, 해당 연구사업단이 지속적으로 발간해 온 연구총서 6권이다.
『秦漢帝國의 지정학 - 인프라, 영역지배의 변천』은 역사의 내면에 관통하는 인적 물적 역량과 이를 생산, 결집, 유통, 환류시키는 동학인 지정학에 주목하여 400년간 존속된 진한제국의 생명력 저변에 존재하는 지정학적 장기지속성의 내용을 소개한다. 이 책의 관점에 의하면 진제국은 새로운 시대의 창립이 아닌 과도기로서, 전국시대에 구축된 지정학적 결과이며 한나라 초기의 군국제 역시 전국시대 진나라에 의해 형성된 지정학적 국면이 연장되는 과정으로 설명된다.
MARC
008241120s2023 ggkabd 000a kor■020 ▼a9788963475776▼g94910▼c\36,000
■035 ▼a(KERIS)BIB000016897316
■0820 ▼a951.01▼220
■090 ▼a952.3▼b금73ㅈ
■1001 ▼a금재원
■24510▼a秦漢帝國의 지정학 ▼b인프라, 영역지배의 변천▼d금재원 지음.
■24611▼aGeopolitics of the Qin-Han Empire
■260 ▼a과천▼b진인진▼c2023
■300 ▼a368 p. ▼b삽화,지도,표▼c24 cm
■49010▼a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HK+사업단 연구총서▼v6
■504 ▼a참고문헌: 361-368
■541 ▼a2024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교육부 우수학술도서
■650 8▼a지정학
■650 8▼a진시대
■651 8▼a중국사
■651 8▼a한시대
■830 0▼a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HK+사업단 연구총서▼v6
■9500 ▼b\36,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