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중세 서유럽의 흑사병
중세 서유럽의 흑사병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55506028 93920 : \26,000
- DDC
- 940.1-20
- 청구기호
- 940.1 이52ㅈ
- 저자명
- 이상동
- 서명/저자
- 중세 서유럽의 흑사병 / 이상동 지음.
- 기타표제
- [표지표제]사상 최악의 감염병과 인간의 일상
- 발행사항
- 서울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23
- 형태사항
- 376 p. : 삽화 ; 21 cm
- 총서명
- 知의 회랑 = Arcade of knowledge ; 039
- 서지주기
-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 통일총서명
- 知의 회랑 Arcade of knowledge ; 039
- 전자적 위치 및 접속
- 로그인을 한후 보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 총서명
- Arcade of knowledge ; 039
- 가격
- \26,000
- Control Number
- joongbu:652017
- 책소개
-
삶의 토대부터 심성의 근원까지
인간의 모든 것을 뒤흔들었던
중세 서유럽의 흑사병 이야기
인류 역사에 존재했던 여러 팬데믹(세계적 유행병)들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흑사병에 관한 이야기. 특히 그 영향력이 가장 파괴적이었다고 알려진 중세 서유럽의 사례(1347/8~1351년)에 주목했다.
책은 크게 종교ㆍ심성적 측면과 사회ㆍ경제적 측면에서 흑사병을 분석한 제1부와 의학사적 관점에서 흑사병을 살펴본 제2부로 구성된다. 저자는 역사시대로 접어든 이후 발생한 첫 번째 팬데믹인 ‘유스티니아누스 역병’에 관한 논의를 시작으로, 채찍질 고행과 유대인 학살이 자행되고 인구 급감에 따라 노동시장과 환경이 새로운 전기를 맞는 등 흑사병이 뒤바꿔놓은 세상의 풍경과 인간의 일상을 폭넓게 들여다본다. 중세를 지탱하던 교회 권위의 하강과 세속 기득권의 균열 그리고 반복되던 전쟁과 기근 못지않게, 흑사병의 창궐 또한 중세를 파국으로 몰고 간 사태였음을 직시해볼 수 있다.
아울러 흑사병 발생의 원인과 그 예방법 및 치료법을 둘러싼 중세 의학체계의 반응들을 되짚어봄으로써 역병에 대처하는 중세인들의 인식과 태도의 변화, 그리고 엄연한 시대적 한계까지 환기해내고 있다.
성균관대학교 학술기획총서 ‘知의회랑’의 서른아홉 번째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