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페미니스트, 경찰을 만나다 : 시민-경찰을 위한 성평등 강의
페미니스트, 경찰을 만나다 : 시민-경찰을 위한 성평등 강의
- Material Type
- 단행본
- ISBN
- 9791168731271 03330 : \16,800
- DDC
- 305.42-20
- Callnumber
- 305.42 이54ㅍ
- Title/Author
- 페미니스트, 경찰을 만나다 : 시민-경찰을 위한 성평등 강의 / 이성은 [외]지음 ; 이성은 기획.
- Publish Info
- 파주 : 오월의봄, 2024
- Material Info
- 218 p. : 삽화 ; 21 cm
- General Note
- 공지은이: 이경환, 주재선, 김창연, 이해리, 정혜심, 이임혜경, 이은아, 추지현
- General Note
- 부록: 성평등 용어 사전
-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 가정 폭력[家庭暴力]
- Added Entry-Personal Name
- 이성은
- Added Entry-Personal Name
- 이경환
- Added Entry-Personal Name
- 주재선
- Added Entry-Personal Name
- 김창연
- Added Entry-Personal Name
- 이해리
- Added Entry-Personal Name
- 정혜심
- Added Entry-Personal Name
- 이임혜경
- Added Entry-Personal Name
- 이은아
- Added Entry-Personal Name
- 추지현
- Price Info
- \16,800
- Control Number
- joongbu:651916
- 책소개
-
경찰이 성평등 관점을 지니고 있지 않을 때 우리 사회에는 어떤 일이 일어날까? 경찰은 여러 정부 부처들 가운데서도 특히 시민의 가까이에서 안전을 책임진다. 그런 경찰에 성평등 관점이 부재한다면, 각기 다른 성별과 성 정체성 등을 지닌 다양한 시민들이 일상의 여러 측면에서 차별을 겪게 될 것이며, 범죄 등 위험 상황에 처했을 때도 동등하게 안전을 보장받지 못할 것이다.
여성단체의 쉼터에 가정폭력 가해자가 난입했을 때 피해자를 보호하기는커녕 가해자의 편에 서거나, 이른바 ‘n번방 사건’, ‘딥페이크 사건’으로 불리는 디지털 성범죄 수사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는 등 경찰은 여성을 비롯한 사회적 소수자들의 목소리에 충분히 귀 기울이지 않는 모습을 여러 차례 보여왔다. ‘#경찰이라니_가해자인줄’ 해시태그 운동이나, 디지털 성범죄 및 그에 대한 경찰의 편파 수사를 규탄한 2018년 혜화역 ‘불편한 용기’ 시위는 이렇게 성평등 관점은 물론 기본적인 인권 의식을 결여한 경찰 행정 및 수사 방식에 적극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나선 시민들의 저항 행동이었다.
이 책은 그런 경찰 조직을 근본적인 차원에서부터 변혁해야 한다는 문제의식 아래 모인 페미니스트 행정가 및 전문가들의 이야기를 담아낸다. 2018년 3월 30일 경찰청은 미투운동의 흐름과 문제의식을 기민하게 인지하며 중앙행정기관 최초로 여성정책이 아닌 성평등정책 전담부서를 신설하는 꽤 급진적인 선택을 했다. 이 책의 기획자 겸 저자로 경찰청 성평등정책담당관실 부서장을 맡았던 여성학자 이성은을 비롯해 페미니즘을 기반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는 9명의 저자들은 경찰 구성원들과 협업하며 다양한 성평등정책을 수립했고, 치열한 젠더 거버넌스를 통한 실질적 변화를 일궈냈다. 이 책은 그 협업에 대한 생생한 기록으로, 경찰이 성평등 관점을 잃지 않도록 시민들이 계속해서 지켜보고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제안한다.
Detail Info.
- Reservation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My Fol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