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윤보선과 1970년대 한국정치
윤보선과 1970년대 한국정치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58667603 94340 : \20,000
- ISBN
- 9788971057711(세트)
- DDC
- 320.951-20
- 청구기호
- 320.951 윤45ㅇ
- 단체저자
- 윤보선민주주의연구원
- 서명/저자
- 윤보선과 1970년대 한국정치 / 윤보선민주주의연구원 엮음 ; 김정회 [외]지음.
- 발행사항
- 성남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24
- 형태사항
- 336 p. ; 23 cm
- 총서명
- AKS 사회총서 ; 31
- 주기사항
- 찾아보기: p. 331-336
- 주기사항
- 공지은이: 김명구, 서희경, 윤왕희, 정일준, 안병욱, 황병주, 손승호, 김정남
- 주기사항
- 부록: 회고, 1970년대 민주화운동과 유신체제의 붕괴_김정남
- 서지주기
- 각 장마다 참고문헌 수록
- 서지주기
- 서지적 각주 수록
- 주제명-개인
- 윤보선 , 1897-1990
- 기타저자
- 김정회
- 기타저자
- 김명구
- 기타저자
- 서희경
- 기타저자
- 윤왕희
- 기타저자
- 정일준
- 기타저자
- 안병욱
- 기타저자
- 황병주
- 기타저자
- 손승호
- 기타저자
- 김정남
- 기타서명
- 윤보선과 천구백칠십년대 한국정치
- 총서명
- 에이케이에스 사회총서 ; 31
- 가격
- \20,000
- Control Number
- joongbu:651400
- 책소개
-
해위 윤보선(尹潽善, 1897~1990)은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으로, 1962년 대통령직을 내려놓고 난 뒤에도 한국 현대사의 각 시기마다 일정한 역할을 해온 인물이다. 이 책은 그가 정당 정치를 떠나 재야에서 민주화운동을 했던 1970년대를 중심으로, 그의 활동과 사상, 나아가 당대 한국 정치를 살폈다. 먼저 ‘제1부 1970년대 민주화운동과 유신체제’에서는 유신 반대 민주화운동에 대한 재평가를 중심으로, 윤보선의 인권의식과 국가관, 당시 민주화운동에서 배우자 공덕귀 여사의 역할, 유신헌법 반대의 정치사적 의미, 유신시대 정당과 선거의 현재적 의미, 한미관계와 유신체제 붕괴 등을 다루었다. ‘제2부 민청학련 항쟁 재조명’에서는 1974년 일어난 민청학련(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 사건을 집중조명하면서 그 전개 과정과 역사적 의의, 재야 민주화운동세력의 형성 과정,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기독교계의 역할을 다루었다. 마지막 부록에서는 1970년대 민주화운동 전개가 유신체제 붕괴로 이어지던 당시의 상황을 회고 형식으로 정리했다.
1970년대는 한국 현대사에서 중요한 전환기였다. 대외적으로는, 미국이 한국전쟁 당시 적국이었던 중국과 데탕트(détente; 긴장 완화)를 추구하면서 안보 환경이 급변했다. 박정희 정권은 미국의 방기(disengagement)에 대비하여 군수산업화를 급속히 추진하고, 핵무장을 포함한 자주국방을 추구했다. 한미관계는 밀월관계에서 긴장관계로 변했다. 국내적으로는, 먼저 1960년대부터 시작한 수출 주도 산업화가 한국사회를 자본주의 세계 체제에 깊이 편입시키는 한편, 전태일 분신으로 대표되는 노동 문제를 야기했다. 또한 박정희 정권이 유신 체제를 수립함으로써 민주주의 위기를 초래했다. 이는 국내외 민주세력의 결집과 항쟁을 결과했고, 마침내 유신체제의 몰락으로 이어졌다.
이 책 『윤보선과 1970년대 한국정치』는 한국의 민주화와 산업화가 시작하고 본격화한 1950·1960년대 윤보선의 활동과 정치역사적 의미를 조명한『윤보선과 1950년대 한국정치』, 『윤보선과 1960년대 한국정치』의 연장선에서 발간했다. 격동의 한국사를 통과한 윤보선을 조명한 이 세 권의 책은 한 정치인의 공과(功過)는 물론 당대 한국정치 문제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게끔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