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픽션의 가장자리 : 새로운 주체, 공통의 세계를 찾아 나선 지적 여정
픽션의 가장자리 : 새로운 주체, 공통의 세계를 찾아 나선 지적 여정
- Material Type
- 단행본
- ISBN
- 9791168731240 03800 : \22,000
- Language Code
-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fre
- DDC
- 808.3-20
- Callnumber
- 808.3 R185b최
- Author
- Rancière, Jacques , 1940-
- 통일서명
- Bords de la fiction.. Korean
- Title/Author
- 픽션의 가장자리 : 새로운 주체, 공통의 세계를 찾아 나선 지적 여정 / 자크 랑시에르 지음 ; 최의연 옮김.
- Publish Info
- 파주 : 오월의봄, 2024
- Material Info
- 334 p. ; 21 cm
- General Note
- 이 책은 "Les bords de la fiction"의 번역본임
- General Note
- 색인: p. 331-334
- General Note
- 원저자명: Jacques Rancière
-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 프랑스 철학[--哲學]
-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 인문학[人文學]
-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 Fiction
- Added Entry-Personal Name
- 최의연
- Price Info
- \22,000
- Control Number
- joongbu:651382
- 책소개
-
우리 시대의 사상가 자크 랑시에르가 말하는 픽션의 정치,
아무것도 아닌 것을 모든 것으로 바꾸는 지적 모험의 서사
몫 없는 자들의 말과 글은 어떻게 픽션에 새겨지는가?
아무것도 아닌 것을 모든 것으로 바꾸는 혁명에 대한 이야기
우리 시대의 사상가 자크 랑시에르가 ‘픽션의 정치’를 주제로 쓴 《픽션의 가장자리》가 출간됐다. 보통 문학 용어로 통용되는 ‘픽션’은 실재와 가상, 현실과 비현실, 진실과 거짓을 나누는 문제와 결부된다는 점에서 오랜 철학적 물음이기도 하다. 랑시에르는 특이하게도 문학뿐만 아니라 사회과학 또한 인간과 사회에 대한 ‘합리적’ 설명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일종의 픽션으로 간주한다. 그래서 이 책에는 마르크스의 《자본론》이 한 챕터로 의미 있게 다뤄지고 있다.
이 책은 제목에서 쉽게 유추할 수 있듯이 《정치적인 것의 가장자리에서》(1990)라는 랑시에르의 대표적인 정치철학적 저작과 마주 서 있는 미학적 작품이다. 《정치적인 것의 가장자리에서》가 ‘정치의 감성학’을 이해하기 위한 주요 입구 중 하나였다면, 《픽션의 가장자리》에는 그에 대응하는 ‘미학의 정치’의 핵심적인 아이디어가 새겨져 있다.
이 책은 스탕달에서부터 발자크, 보들레르, 위고, 모파상, 프루스트, 릴케, 에드거 앨런 포, 콘래드, 제발트, 버지니아 울프, 포크너를 거쳐 브라질 현대 작가 주앙 기마랑이스 호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학작품 분석을 통해 문학혁명이 어떻게 민주주의의 가장자리를 따라 나 있는지 살핀다. 또 《자본론》에서 마르크스의 극작법을 분석하고, 근대와 현대 픽션에 등장한 새로운 주체는 누구이고 공통의 세계는 무엇인지를 탐구한다. 우리가 세계라고 부르는 것과 그 세계를 살아가는 방식들을 살펴보는 데 사유의 지평을 넓혀주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이 책은 “이와 같은 온갖 모험들을 통해 계속되는 것은 바로 아무것도 아닌 것을 모든 것으로 변화시키는 혁명에 대한”(20쪽) 이야기다. 아무것도 아닌 사람들이 ‘픽션의 정치’를 통해 어떻게 주체로 등장하고, 변화하지 않는 세상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탐구하는 책이다.
Detail Info.
- Reservation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My Fol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