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벤야민-아도르노와 함께 보는 영화 : 국가 폭력의 관점에서
벤야민-아도르노와 함께 보는 영화 : 국가 폭력의 관점에서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61953375 93680 : \22,000
- DDC
- 791.4302-20
- 청구기호
- 791.4301 문44ㅂ
- 저자명
- 문병호
- 서명/저자
- 벤야민-아도르노와 함께 보는 영화 : 국가 폭력의 관점에서 / 문병호 ; 남승석 지음
- 기타표제
- [원표제]Contemplating east Asian cinemas with Benjamin and Adorno
- 발행사항
- 서울 : 갈무리, 2024
- 형태사항
- 344 p. : 삽화 ; 19 cm
- 총서명
- 카이로스총서 ; 100
- 서지주기
- 참고문헌(p. 333-335)과 색인 수록
- 주제명-개인
- Benjamin, Walter , 1892-1940
- 주제명-개인
- Adorno, Theodor W. , 1903-1969
- 일반주제명
- 영화 평론[映畵評論]
- 기타저자
- 남승석
- 통일총서명
- 카이로스총서 ; 100
- 가격
- \22,000
- Control Number
- joongbu:649082
- 책소개
-
"벤야민의 소망과는 달리 영화의 역사는 대중을 일깨우는 방향으로 전개되지 않았다. 오히려 그것은 아도르노가 간파하였던 대로 대중 조작, 대중 기만의 수단으로 전락했다. 하지만 상업 영화와 오락 영화가 영화계를 지배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소수의 영화가 갖는 예술적 능력이 무시될 수는 없다.
이 책은 지금까지 영화 해석의 주요 텍스트로 사용되어 온 벤야민의 「기술복제 시대의 예술작품」은 물론이고 그의 『독일 비애극의 원천』, 「운명과 성격」에서, 그리고 아도르노의 미학·예술이론, 역사철학, 사회이론에서 주요한 영화미학적 개념들을 도출하여 새롭고 실험적인 영화해석을 시도한다. 쇼펜하우어는 “예술은 세계가 다시 한번 출현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런데 그 세계는 벤야민이 『독일 비애극의 원천』에서 서술하듯이 세계를 만든 인간이 세계에 의해 고통 받는 세계다. 아도르노가 『미니마 모랄리아』에서 “슬픈 학문”이라는 말로 표현하듯 세계의 진행은 구원·화해와는 동떨어진 것이었다. 세계사는 부자유한 노동을 강제당하면서 지배 권력에 의해 파편화된 삶을 살아가는 다수의 사람들의 피, 눈물, 고통, 죽음의 역사이다.
『벤야민-아도르노와 함께 보는 영화』가 분석하는 〈공동경비구역 JSA〉(2000, 한국), 〈택시운전사〉(2017, 한국), 〈여름궁전〉(2006, 중국), 〈고령가 소년 살인사건〉(1991, 대만), 〈복수는 나의 것〉(1979, 일본) 등 다섯 편의 영화는 영상매체로서의 영화가 갖는 장점이 최대한 발휘된 작품들이다. 여기에는 다수 사람들의 피, 눈물, 고통, 죽음이 충격적이며 추하고 혐오감을 불러일으키는 영상들로 담겨 있다. 이 영상들은 슬프고 추한 세계를 증언한다. 하지만 이 증언에는 세계가 변혁되기를 바라는 소망들도 함께 들어 있다. 그것은 이데올로기 대립으로 개인들의 삶이 폐기되지 않는 세계에 대한 소망, 국가권력에 의해 개인들의 삶이 파편화되거나 죽음에 이르게 되지 않는 세계에 대한 동경, 제국주의·군국주의와 같은 광기와 폭력의 총체적 체계가 세계에 더 이상 출현하지 않아야 한다는 소망이다."
detalle info
- Reserva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Mi carpeta
número de libro | número de llamada | Ubicación | estado | Prestar info |
---|---|---|---|---|
EM0415258 | 791.4301 문44ㅂ | 고양캠퍼스 대출실 | 대출가능 |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EM0415259 | 791.4301 문44ㅂ c.2 | 고양캠퍼스 대출실 | 대출가능 |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 Las reservas están disponibles en el libro de préstamos. Para hacer reservaciones, haga clic en el botón de reserv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