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중국지리의 이해
중국지리의 이해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83124579 93910 : \24,000
- DDC
- 915.1-20
- 청구기호
- 915.2 김25ㅈ3
- 서명/저자
- 중국지리의 이해 / 김동하 지음
- 판사항
- 제3판
- 발행사항
- 부산 : 부산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21
- 형태사항
- 458 p. : 삽화, 지도 ; 26 cm
- 서지주기
- 참고문헌 수록
- 기금정보
- 부산외국어대학의 연구활동 진직 및 출판물의 저작, 보급을 촉진하기 위해 도서개발 연구비 지원을 받아 제작 되었음
- 일반주제명
- 중국 지리[中國地理]
- 기타저자
- 김동하 , 1966- , 金東河
- 전자적 위치 및 접속
- 로그인을 한후 보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 가격
- \24,000
- Control Number
- joongbu:648723
- 책소개
-
중국은 G2라 불리우며, 미국 다음의 세계 2위 경제대국으로 부상하였다. 중국 인구는 13.5억명으로 세계 1위이며, 국토 면적으로는 4위의 국가이다. 이처럼 명실상부한 ‘대국’으로 부상하게 된 중국에 대한 이해의 첫걸음은 그 나라의 기본적인 지리정보에서 시작하는 것도 유효한 방법이다. 본고는 중국의 지리를 이해함에 있어 경제, 문화와 같은 인문지리는 물론 기본적인 자연환경(지형, 기후 등)을 그 범위에 두고 접근하고자 하였다. 즉 동서간 5개의 시차구간이 있음에도 베이징 시간을 표준시간으로 두고 있는 이유와 함께 세계 최고 높이의 에베레스트산과 해발 최저점인 투루판 분지와 같은 지리적 특성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중국지리를 이해하는데 기준이 되는 것은 동서간 5,200㎞나 되는 넓은 국토를 어떻게 구분하는지에 대한 권역 구분법이다. 역사적·경제적 관점에서의 구분법이 다르며, 특히 지역별 명칭에 대한 이해를 통해서 중국의 특정 지역이 가지는 인문지리적 배경을 파악하도록 하였다.
2장에서는 중국 주변국 현황을 비교적 자세히 다루었는데 이는 중국이 14개 국가와 국경을 마주하고 있는 것에 기인한다. 본고의 주제는 중국지리이지만, 중국 내 접경지역은 바로 인접한 국가의 경제·사회적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3장에서는 중국 31개 성, 직할시, 자치구를 7개 권역(화북, 동북, 화동, 화남, 화중, 서북, 서남)으로 나누어 지리적 특성, 경제환경, 발전계획 등을 살펴보았다. 획일적인 통계의 나열보다는 소수민족 자치구의 경우 그 역사적 배경과 민족적 특성을 살펴보고, 경제가 발달한 연해지역은 새롭게 계획하고 있는 차세대 성장동력을 이해하는데 초점을 맞추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중국 주요 지역개발정책을 살펴보았는데, 현재 진행중인 서부대개발·동북진흥·중부굴기정책 등이 그 주인공이다. 이들 정책의 현황과 함께 추진하게 된 배경, 그리고 최근까지의 성과를 고찰하여 중국지리를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했다.
단행본이라는 한정된 분량에 세계에서 네번째로 큰 중국지리를 담기에는 처음부터 무리가 있다는 것을 부인하기 어렵다. 또한 본고에서 다룬 많은 곳을 부끄럽지만 필자가 미처 모두 가보지 못했음도 사실이다. 중국지리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경제·사회·문화적 특성에 영향을 받아 변화하는 것이 당연하며, 필자는 꾸준한 수정 및 개정 작업을 통해 최대한 그 변화를 쫓아가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을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