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김유정 문학상 수상작품집 : 제17회 수상작품집
김유정 문학상 수상작품집 : 제17회 수상작품집 / 김혜진 [외] 지음.
Contents Info
김유정 문학상 수상작품집 : 제17회 수상작품집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88982183317 03810 : \14,000
DDC  
811.36079-20
청구기호  
811.36079 김66ㄱ 2023
저자명  
김혜진
서명/저자  
김유정 문학상 수상작품집 : 제17회 수상작품집 / 김혜진 [외] 지음.
발행사항  
서울 : , 2023
형태사항  
225 p. ; 20 cm
총서명  
김유정문학상 수상작품집 ; 제17회(2023)
주기사항  
수상작 김혜진의 '푸른색 루비콘'과 수상 후보작 5편 수록
내용주기  
푸른색 루비콘 김혜진 -- 세월은 우리에게 어울려 김병운 -- 만유당 김이정 -- 조용한 생활 전성태 -- 검은 개 흰 말 조경란 -- 이모에게 최은영
일반주제명  
한국 현대 소설[韓國現代小說]
키워드  
수상작품집 김유정문학상 한국소설 한국현대소설 한국현대문학
기타저자  
김병운
기타저자  
김이정
기타저자  
전성태
기타저자  
조경란
기타저자  
최은영
기타서명  
세월은 우리에게 어울려
기타서명  
만유당
기타서명  
조용한 생활
기타서명  
검은 개 흰 말
기타서명  
이모에게
기타서명  
이천이십삼 김유정 문학상 수상작품집
기타서명  
이공이삼 김유정 문학상 수상작품집
가격  
\14,000
Control Number  
joongbu:644792
책소개  
2023년 김유정문학상 수상작품집. 수상작인 김혜진의 「푸른색 루비콘」과 수상 후보작 5편을 함께 실었다.

수상작
김혜진 | 푸른색 루비콘
「푸른색 루비콘」은 사람 사이의 심연을 서늘하게 부조해내면서도 상실과 불모의 시간에 찾아드는 다디단 물 한 잔의 위로와 평화를 외면하지 않는다. 김혜진은 현실의 누추함 그 자체이기도 하지만, 얼마간 저 너머에서 건너온 듯한 인물을 단편소설의 여백 안에 무심하게 안착시킨다. 이 작품에는 근대의 소설이 일찌감치 떠나온 구원의 상상력이 공터의 풍경 속에 폐기물의 잔해처럼 희미하게 흩뿌려져 있다. 그것이 공터 천막 마당에 앉은 주인공에게 한 줄기 따뜻한 햇살, 잠깐의 평화로 찾아드는 순간의 감동은 구원의 서사에서 이제 내줄 게 별로 없는 소설이 마지막까지 여투어둔 “아주 사소한” 그러나 꽤 끈덕진 “보상”일지도 모른다. _심사평에서

수상 후보작
김병운 | 세월은 우리에게 어울려
어떤 사람에게 산다는 것은 사라지는 과정이다. 살아 있으나 죽은 것과 다르지 않은 삶. 김병운이 힘들게 추적하는 이 삶의 풍경은 지나치게 범속해서 오히려 놀랍고 그래서 더 기이하게 우리를 심문한다. 그들이 우리다. _신수정(문학평론가)

김이정 | 만유당
월북한 피붙이의 돌연한 등장은 한때 상투적인 이야기 소재였다. 반세기가 지난 지금도 이런 일은 발생하고 있는데, 물론 그런 사건이 놓여 있는 맥락은 이전과는 완연히 다르다. 김이정의 이 소설은 오랜 세월 전에 월북하여 죽은 줄 알았던 부친의 출현이라는 다소 상투적인 소재를 다시 들고 왔으면서도 그 문제를 ‘불편한 공생’이라는 차원에서 처리하는 의외의 시각을 보여준다. _김경수(문학평론가)

전성태 | 조용한 생활
나날이 시대가 급변한다고 해도 지방 소도시의 삶은 그곳 특유의 역사의 두께가 만만치 않은 탓에 여전히 보이지 않는 관성에 의해 굴러가는 것이 사실이다. 전성태의 「조용한 생활」은 반세기 전 벌어졌던 역사적 상처 속에서 현재를 살아갈 수밖에 없는 사람들의 그림자 같은 또 하나의 삶을 보여줌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그 역사를 다시금 상기토록 한다. _김경수(문학평론가)

조경란 | 검은 개 흰 말
「검은 개 흰 말」은 삶의 곳곳에 도사린 위험과 불안에 대해 말하는 소설이다. 자기 집 욕실에 갇힌 인물과 누구도 안전하지 않다는 사실을 상기시키는 안전 안내 문자, 목줄이 풀린 검은 개 등 여러 징후적 이미지들이 인간의 조건을 사유하게 한다. 그리하여 불안이 극복해야 할 장애가 아니라 거주해야 할 집일지 모른다는 생각까지 끌고 간 것이 이 소설의 성취다. _이승우(소설가)

최은영 | 이모에게
할머니와 엄마에 이어 이번에는 이모다. 최은영이 재현하는 우리 주변 여성의 역사는 고단하고 신산하지만 언제나 자존을 잃지 않는다. 더 어려운 처지의 여성과 유대하기를 잊지 않는다. 이들의 삶이 별처럼 반짝이지 않을 수 없는 이유다. _신수정(문학평론가)



▶주관 : 김유정기념사업회
▶심사위원 : 이승우, 김경수, 신수정, 정홍수
New Books MORE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detalle info

  • Reserva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Mi carpeta
Material
número de libro número de llamada Ubicación estado Prestar info
EM0405775 811.36079 김66ㄱ 충청캠퍼스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EM0405776 811.36079 김66ㄱ c.2 충청캠퍼스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Las reservas están disponibles en el libro de préstamos. Para hacer reservaciones, haga clic en el botón de reserva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Related books

Related Popular Books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