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철근콘크리트 : 강도설계법과 한계상태설계법
철근콘크리트 : 강도설계법과 한계상태설계법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41182290 93530 : \65,000
- KDC
- 532.7-6
- DDC
- 624.18341-20
- 청구기호
- 624.18341 이73ㅊ
- 저자명
- 이재훈
- 서명/저자
- 철근콘크리트 : 강도설계법과 한계상태설계법 / 이재훈 지음
- 기타표제
- [대등표제]Reinforced concrete
- 발행사항
- 파주 : 동명사, 2023
- 형태사항
- 1100 p. : 삽화 ; 26 cm
- 주기사항
- 2023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도서
- 서지주기
- 각 장마다 참고문헌과 색인(p. 1086-110) 수록
- 일반주제명
- 철근콘크리트
- 가격
- \65,000
- Control Number
- joongbu:638939
- 책소개
-
미국형 강도설계법과 유럽형 한계상태설계법 모두를 한 권의 책에 수록
이 책은 철근콘크리트에 대한 강도설계법과 한계상태설계법을 모두 소개하였으며, 설계 위주로 집필되어 있는 다른 교재들과 달리 시공에 대한 주제에 대해서도 많은 부분을 할애하여 저술하였다. 각 장마다 해당 주제에 대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구조거동을 먼저 소개하고, 그 거동을 반영한 이론과 해석방법을 설명한 후, 강도설계법 또는 한계상태설계법의 각 설계기준에서 해당 주제에 대하여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 소개하는 형태로 구성하였으며 또한 원리와 적용법을 이해할 수 있는 예제를 풀이와 함께 다양하게 수록하여 강도설계법과 한계상태설계법 모두에 대해 독자들이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철근콘크리트에 관한 일을 하는 분들과 철근콘크리트를 공부할 사람들은 위한 지식과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한 도서
철근콘크리트를 왜 공부하는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계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를 하려면 알아야하기 때문이다. 또 하나 중요한 것은 현장에서 건설기술자가 공학적 판단을 할 때 필요한 지식을 얻기 위해서이다. 이것은 건설현장에 기술자(engineer)가 필요한 가장 큰 이유로, 저자가 현장에서 발생한 일의 해결책을 모색하는 자문활동을 경험하면서 얻은 결론이다. 계획하고 설계한대로 시공이 이루어지기만 한다면 건설현장에 기술자가 꼭 필요하지 않을 지도 모른다. 그러나 구조물을 구성하는 건설재료와 구조물을 지지하는 지반조건은 변동성이 크고, 건설현장은 상황을 미리 예상하기 어려워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많은 가정을 가지고 설계된다. 따라서 실제로 시공이 이루어지는 건설현장, 특히 토목구조물의 시공현장에서는 설계 때의 가정과 다른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 통상적인 일이며, 이때 필요한 것이 현장기술자의 공학적 판단이다. 이런 일이 엔지니어링(engineering)의 한 축이므로 엔지니어링은 설계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그렇다면 공학적 판단에는 무엇이 필요할까. ‘어떻게(how)’도 중요하지만 ‘왜(why)’를 아는 것이 더 중요할 때가 있다. 왜 그런지 이유를 알아야 합리적인 판단으로 해결책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책의 저술에는 ‘어떻게(how)’와 함께 ‘왜(why)’를 설명하는데 소홀히 하지 않으려고 노력하였다. 또 ‘어떻게(how)’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모두 90개의 예제를 수록하였고 예제를 통하여 철근콘크리트의 거동을 이해하도록 기술하고자 하였으며, ‘왜(why)’를 다시 한 번 생각하고 정리하도록 각 장의 연습문제에 질문을 수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