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전남 완도군 해녀의 삶과 언어
전남 완도군 해녀의 삶과 언어 / 지은이: 김경표
Содержание
전남 완도군 해녀의 삶과 언어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91192062211 93700 : \26,000
KDC  
718.98-6
DDC  
495.77-20
청구기호  
411.7 김14ㅈ
저자명  
김경표
서명/저자  
전남 완도군 해녀의 삶과 언어 / 지은이: 김경표
발행사항  
서울 : 온샘, 2023
형태사항  
vii, 367 p. : 지도 ; 23 cm
총서명  
온샘인문학총서 ; 9
주기사항  
2023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도서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기금정보  
2021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1S1A5B5A16077665)
일반주제명  
해녀[海女]
일반주제명  
언어(말)[言語]
주제명-지명  
완도[莞島]
통일총서명  
온샘인문학총서(온샘) ; 9
가격  
\26,000
Control Number  
joongbu:638898
책소개  
해녀는 바닷속에 산소공급 장치 없이 잠수하여 해산물을 채취하는 여성을 일컫는다. 그런데 완도군에서는 과거에 해녀를 ‘무레꾼’이라고도 불렀으며 남녀가 함께 작업하였으나 현재는 ‘해녀’라는 명칭만 사용하고 여성만 물질하고 있다. 해녀는 제주도뿐만 아니라 동해안, 서남해안에서 활동하고 있는데 완도군에서 활동하는 해녀는 제주에서 이주한 출향해녀와 지역출신인 자생해녀가 함께 활동하고 있다.
완도군 해녀는 제주도 해녀와 달리 세 가지 방식으로 물질을 해왔다. 첫째, 전통적인 물질 방법으로 수경과 오리발을 착용하고 테왁과 망사리를 가지고 바닷물에 들어가 해산물을 채취하는 것이다. 둘째, 잠수복을 입고 공기호스가 연결된 청동 헬멧을 쓰고 깊은 바다에서 오랜 시간 동안 해산물을 채취하는 것으로 일명 머구리라고 한다. 셋째, 스쿠버 다이버에게 장비 사용 방법을 배워 공기통을 지고 바다에 들어가 해산물을 채취하는 것이다.
완도읍을 기준으로 완도군의 서부지역 해녀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물질을 하고 있고 동부지역 해녀는 공기통을 지고 물질을 하고 있었다.
이 책은 완도군 해녀의 특징을 살피고 점점 사라져가는 해녀의 삶과 해녀들의 언어를 녹취를 통해 수집하고 정리하면서 그들만의 언어를 표준어와 비교 연구하였다.
New Books MORE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Подробнее информация.

  • Бронирование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моя папка
материал
Reg No. Количество платежных Местоположение статус Ленд информации
EM0399296 411.7 김14ㅈ 충청캠퍼스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Бронирование доступны в заимствований книги. Чтобы сделать предварительный заказ, пожалуйста, нажмите кнопку бронирование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Related books

Related Popular Books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