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식민지조선과 법사상
식민지조선과 법사상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28518418 94360 : \22,000
- ISBN
- 9788928502813 (세트)
- DDC
- 340.1340.09519-20
- 청구기호
- 340.0951 김82ㅅ
- 저자명
- 김창록
- 서명/저자
- 식민지조선과 법사상 / 김창록 지음
- 기타표제
- [한자표제] 植民地朝鮮과 法思想
- 발행사항
- 서울 : 민속원, 2023
- 형태사항
- 224 p. ; 24 cm
- 총서명
- 법사학연구총서 ; 08
- 주기사항
- 2023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도서
- 서지주기
- 참고문헌 수록
- 일반주제명
- 한국 법제사[韓國法制史]
- 통일총서명
- 법사학연구총서 ; 08
- 전자적 위치 및 접속
- 로그인을 한후 보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 가격
- \22,000
- Control Number
- joongbu:638827
- 책소개
-
이 책은‘ 식민지조선’과 밀접한 관계를 맺었던 법률가 세 사람의 법사상에 대해 분석한 글들을 모은 것이다. 식민지 조선인으로 태어나 ‘시류파(時流派)’ 법학도로서의 삶을 열심히 살았고, 그 때문에 하지만 드물게 식민지인의 삶에 대해 거듭 ‘참회’했던 이항녕, 촉망받는 법철학자로서 식민지조선 유일의 제국대학에 환영을 받으며 부임했다가 제국 일본인으로서의 역할에 충실한 탓에 식민지조선으로부터 배척당했고, 패전 이후에는 제국 일본의 법사상을 연속시키기 위해 애썼던 오다카 토모오(尾高朝雄), 제국 일본의 변호사로서 약자의 편에 서서 싸웠고, 그 약자의 일부인 식민지 조선인들로부터 ‘우리들의 변호사’로 추앙받았던 후세 타쯔지(布施辰治). 식민지조선이라는 경험을 공유하면서도 서로 다른 전개를 보였던 그들의 법사상을 통해 ‘식민지조선과 법사상’의 하나의 모습을 그려보았다.
MARC
008240207s2023 ulk b 000c kor■020 ▼a9788928518418▼g94360▼c\22,000
■0201 ▼a9788928502813 (세트)
■035 ▼a(KERIS)BIB000016769813
■08204▼a340.1▼a340.09519▼220
■090 ▼a340.0951▼b김82ㅅ
■1001 ▼a김창록
■24510▼a식민지조선과 법사상▼d김창록 지음
■2461 ▼i한자표제▼a植民地朝鮮과 法思想
■260 ▼a서울▼b민속원▼c2023
■300 ▼a224 p.▼c24 cm
■49010▼a법사학연구총서▼v08
■50000▼a2023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도서
■504 ▼a참고문헌 수록
■650 8▼a한국 법제사[韓國法制史]
■830 0▼a법사학연구총서▼v08
■85641▼3Table of Contents▼uhttp://www.riss.kr/Keris_abstoc.do?no=16769813
■9500 ▼b\22,000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Buch Status
- Reservierung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Meine Mappe
Registrierungsnummer | callnumber | Standort | Verkehr Status | Verkehr Info |
---|---|---|---|---|
EM0399166 | 340.0951 김82ㅅ | 충청캠퍼스 대출실 | 대출가능 |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EM0399167 | 340.0951 김82ㅅ c.2 | 충청캠퍼스 대출실 | 대출가능 |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 Kredite nur für Ihre Daten gebucht werden. Wenn Sie buchen möchten Reservierungen, klicken Sie auf den But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