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시와 철학의 융합교육론
시와 철학의 융합교육론 / 오정훈 지음
시와 철학의 융합교육론

상세정보

Material Type  
 단행본
ISBN  
9791192542171 93370 : \25,000
KDC  
811.09-6
DDC  
895.71009-20
Callnumber  
811.109 오74ㅅ
Author  
오정훈
Title/Author  
시와 철학의 융합교육론 / 오정훈 지음
Original Title  
[대등표제]Convergence education theory of poetry and philosophy
Publish Info  
서울 : 경진출판, 2022
Material Info  
435 p : 삽화 ; 23 cm
총서명  
학술 ; 16
General Note  
2023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도서
서지주기  
참고문헌(p. 407-435) 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시학[詩學]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언어 철학[言語哲學]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융합 교육[融合敎育]
Series Added Entry-Uniform Title  
학술(경진출판) ; 16
Electronic Location and Access  
로그인을 한후 보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Price Info  
\25,000
Control Number  
joongbu:638823
책소개  
해체철학과 실존철학, 그리고 기호학과 관련된 철학적 인식 바탕
시 작품을 해석하고 감상하는 원리 탐색

이 책은 시와 철학의 융합교육을 목적으로, 특히 해체철학, 실존철학, 기호학 등 철학적 인식을 바탕으로 시 작품을 해석하고 감상하는 원리를 탐색해 나가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 책은 시 감상의 초점을 단순한 주제의 발견이나 작가의 전기적 사실에 대한 검증 등으로 제한하지 않고, 학생 자발적이고 주도적인 감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 작품에 전제된 작가의 가치관을 철학적 인식과 융합함으로써, 학생들의 해석적 근거에 대한 탐색의 자생력을 키워낼 수 있다고 주장한다.

1부인 해체철학과 시학이 융합교육을 다룬 부분에서는 비현전성을 고려한 황지우 시 읽기 방법, 기호 소비의 관점에 입각한 시 감상 방법, 욕망의 지양과 지향으로서의 최승자 시 읽기 방법, 규율 권력 관계 비판을 위한 시 감상 방법 등을 다루고 있다. 2부의 실존철학과 시학의 융합교육 부분에서는 실존적 사유를 통한 김수영 시 읽기 방법, 이형기의 허무 지향 시 교육 방법, 인성 함양을 위한 시 감상 교육 방법, 미학적 인식을 적용한 황동규 시 감상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3부 언어철학과 시학의 융합교육에서는 언어철학적 관점에 입각한 이성복 시 읽기 방법, 매체교육 방법, 맥락 중심의 시 교육 방법을 다루고 있다.

황지우 시가 절대적이고 고정적인 의미가 일방적으로 전달된다는 현전성을 거부함으로써 비현전적으로 형상화됨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그의 시작 태도는 데리다가 강조한 차연, 대리보충, 파르마콘 등의 개념들과 유사한 점이 있음을 보였고, 이를 통해 황지우 시의 미학이 유보적이고 대체적임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이로써 황지우 시를 감상하는 국면에서도 새로운 문맥의 구성에 따라 끊임없이 다양한 의미를 대체적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감상의 방법이 유효할 것으로 보았다.
‘소비’를 매개로 유하의 시와 보드리야르의 철학적 인식의 교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유하 시에서 거론되는 소비와 관련된 현대사회의 다양한 물질 편향적 행태가 단순히 서구의 신자본주의적 헤게모니에 따른 배금주의나 향락주의 이상의 의미가 있음을 읽어내고자 하였다.
무의식을 조망하고 이를 통해 현대사회의 부정적 측면을 비판하고자 한 시적 지향성이 최승자 시학의 주류라고 보는 기존의 논의에서 벗어나, 최승자의 작품에 전제된 욕망의 다층적 이미지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최승자의 욕망에 대한 이원화된 입장이 라깡의 제반 이론과 접점을 형성하고 있음을 살피고 라깡의 철학적 인식을 최승자 작품의 이해를 위해 적극 활용해 보고자 하였다.
푸코의 권력에 대한 인식이 선험적 규범성과 전향적 자기 인식에 있음에 주목하고 이에 대한 관점을 시 감상의 차원으로 활용해 보고자 했다. 신경림과 김남주의 시편들을 통해 감상을 위한 실질적인 방법과 과정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권력이 에피스테메라는 사회 규제적 인식에 의해 형성되며 이러한 에피스테메가 철저히 기득권 세력에 의해 조장되는 것이며 사회적 권력에 대한 민중들의 인식이 결여될 수밖에 없는 것도, 권력의 특징이 선험적 규범으로 작동하기 때문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김수영과 하이데거의 실존적 인식의 접점을 취하고자 하였다. 현존재를 망각하고 존재자로서의 삶을 강요하는 현실 세계에서 유발되는 다양한 정서를 ‘기분’으로 규정하고, 자기 실존을 찾기 위한 현존재의 내면에서 울려 나오는 순수한 소리를 ‘양심’으로 규정한 하이데거의 언명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기분’과 ‘양심’이라는 실존적 개념이 김수영의 작품에서 어떤 양상으로 형상화되어 있으며, 그것의 실존적 의미가 무엇인지를 감상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형기의 시론이 우로보로스의 시학에 집중되어 있음을 주목하고 그의 역설적 인식과 맥이 닿아 있는 니체의 니힐리즘, 즉 능동적 허무주의 관점에서 그의 시를 감상하는 방법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이형기가 그의 작가적 인생을 통해 기존 순환 질서를 거부하고 비유사성과 비동등성의 미학을 구현하고자 하였듯이, 니체 역시 이데아 중심의 서구 형이상학을 부정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극복하고자 한 그의 철학적 사유에 방점을 두고자 하였다.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과 발달을 위해 인성 교육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시 감상 교육을 통해 인성 교육을 강화해 나가는 방안에 대해 모색해 보았다. 교훈적 덕목의 일방적 제시가 인성 교육을 위한 방안으로 주목되었던 기존의 방식에서 탈피해 학생들의 자기 삶에서 유용하고 유의미하다고 판단되는 덕목을 선정하고 그것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자인해 나가는 것이 실질적인 인성 함양의 기반임을 서술하였다.
칸트의 미학적 인식은 욕망이나 일체의 유목적적 의도가 개입될 수 없는 순수 인식임을 강조하였으며, 아울러 대상의 아름다움을 통해 심적 쾌감의 향유만을 목적으로 함을 역설한 바 있다. 즉 미학적 ‘무관심성’과 ‘주관적 합목적성’만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인식을 시 감상 방법에 적용해 보았다.
‘대상의 배열’을 통한 구성적 역량을 강조한 Wittgenstein의 보완된 그림 이론을 이성복 시에 적용한다면, 이성복 작가의 개성적 안목과 문체적 창의성에 좀 더 주목할 수 있다. 그림의 편집과 배열의 차별성을 강조한 Wittgenstein의 견해를 토대로 이성복 시를 감상하게 되면, 그가 시도한 자연과 인간의 이질적 접목, 역설적 미학의 구체화를 통한 시상 전개 방식에 주목하게 됨을 서술했다.
매체교육을 통한 다중 문식성 교육의 바람직한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매체교육의 실질적이고 실천적인 방법이 단계적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음을 역설하였다.
오규원 시와 같이 난해한 작품을 대상으로 학생들이 자발적이고도 주체적으로 감상할 수 있는 방법으로 ‘텍스트적 맥락’과 ‘작가적 맥락’의 형성이 될 수 있음을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구체적인 작품을 들어 이를 적용하는 방법을 서술하였다.

MARC

 008240207s2022        ulka          b        000cu  kor
■020    ▼a9791192542171▼g93370▼c\25,000
■035    ▼a(KERIS)BIB000016593230
■056    ▼a811.09▼26
■08204▼a895.71009▼220
■090    ▼a811.109▼b오74ㅅ
■1001  ▼a오정훈
■24500▼a시와  철학의  융합교육론▼d오정훈  지음
■24611▼aConvergence  education  theory  of  poetry  and  philosophy
■260    ▼a서울▼b경진출판▼c2022
■300    ▼a435  p▼b삽화▼c23  cm
■49010▼a학술▼v16
■50000▼a2023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도서
■504    ▼a참고문헌(p.  407-435)  수록
■650  8▼a시학[詩學]
■650  8▼a언어  철학[言語哲學]
■650  8▼a융합  교육[融合敎育]
■830  0▼a학술(경진출판)▼v16
■85641▼3Table  of  Contents▼uhttp://www.riss.kr/Keris_abstoc.do?no=16593230
■9500  ▼b\25,000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New Books MORE
    Related books MORE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Detail Info.

    • Reservation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My Folder
    Material
    Reg No. Call No. Location Status Lend Info
    EM0399159 811.109 오74ㅅ 충청캠퍼스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Reservations are available in the borrowing book. To make reservations, Please click the reservation button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Related books

    Related Popular Books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