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민족지의 신화
민족지의 신화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92090108 94300 : \28,000
- KDC
- 071.1-6
- DDC
- 079.519-20
- 청구기호
- 079.51 채43ㅁ
- 저자명
- 채백
- 서명/저자
- 민족지의 신화 / 채백 지음
- 발행사항
- 서울 : Culture Look(컬처룩), 2022
- 형태사항
- 379 p. : 삽화 ; 23 cm
- 총서명
- 컬처룩 미디어 총서 ; 026
- 주기사항
- 2023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도서
- 서지주기
-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 기금정보
- 2021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분야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1S1A5A2A01064142)
- 일반주제명
- 한국 언론[韓國言論]
- 일반주제명
- 신문사[新聞社]
- 통일총서명
- 컬처룩 미디어 총서 ; 026
- 전자적 위치 및 접속
- 로그인을 한후 보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 가격
- \28,000
- Control Number
- joongbu:638768
- 책소개
-
민족지 신화는 어디로?
어려울 때일수록 옆을 보고, 뒤를 돌아보아야 한다.
어려움을 이겨낼 지혜는 과거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모든 역사적 문제의식은 현재에서 출발하여 현재로 귀결된다.
일제 강점기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의 역사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이 신문들은 과연 ‘민족지’인가? 한국 언론의 역사에 대해 오랫동안 연구해 온 언론학자 채백 교수(부산대학교 명예교수)의 신간 ≪민족지의 신화≫는 이 문제를 ‘신화’라는 개념으로 파헤친다. ≪민족지의 신화≫에서는 두 신문에 대한 인식이 민족지에서 친일지로 굴절된 배경을 이른바 ‘민족지 신화’에서 찾는다.
신화는 어떻게 만들어지고 변형되었나
‘민족지 신화’는 일제 강점기에 존재했던 두 신문의 과거사를 ‘민족지’라는 개념으로 평가하는 인식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일제 강점기의 두 신문이 식민 지배의 가혹한 탄압에 저항하며 민족의 이익을 대변하며 투쟁한 역사라고 평가하는 인식이다. 해방 이후 반민특위가 해산된 직후부터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스스로 민족지 신화를 만들어 냈다. 일제 강점기 동안 정간 및 폐간당한 역사를 들어 저항하다 탄압을 받은 면으로 부각시켜 스스로를 민족 대표 신문으로 명명해 온 것이다. 그러한 역사는 1970년대 이후까지 이어졌다. 그러나 오늘날 두 신문은 더 이상 민족지라는 이름을 사용하지 않는다. 이 책은 창간 100주년이 넘는 〈조선일보〉, 〈동아일보〉의 역사를 비롯해, 광복 이후에 두 신문의 역사에 대한 논의가 전개되어 온 과정을 분석한다. 일제 강점기 민간지의 역사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역사적 평가의 변천 과정은 거의 연구되지 못했다. 친일 청산 문제는 여전히 지지부진한 오늘날 민족지 신화가 생성되고 굴절되는 과정을 분석하는 이 책은 이론적 및 실천적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고도 의미 있는 작업이다.
detalle info
- Reserva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Mi carpeta
número de libro | número de llamada | Ubicación | estado | Prestar info |
---|---|---|---|---|
EM0399062 | 079.51 채43ㅁ | 충청캠퍼스 대출실 | 대출가능 |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EM0399063 | 079.51 채43ㅁ c.2 | 충청캠퍼스 대출실 | 대출가능 |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 Las reservas están disponibles en el libro de préstamos. Para hacer reservaciones, haga clic en el botón de reserv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