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한국의 도시재생 : 도시를 살리는 다섯 가지 해법
한국의 도시재생  : 도시를 살리는 다섯 가지 해법 / 한국도시설계학회 지음
Содержание
한국의 도시재생 : 도시를 살리는 다섯 가지 해법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88962853568 93530 : \35,000
언어부호  
본문언어 - kor본문언어 - eng
DDC  
711.4-20
청구기호  
711.40951 한16ㅎ
단체저자  
한국도시설계학회
서명/저자  
한국의 도시재생 : 도시를 살리는 다섯 가지 해법 / 한국도시설계학회 지음
발행사항  
고양 : 대가, 2022
형태사항  
579 p. : 천연색삽화, 지도, 초상 ; 25 cm
주기사항  
2023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교육부 우수학술도서임
주기사항  
기증 : 대한민국학술원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일반주제명  
도시 재생[都市再生]
일반주제명  
도시 정비[都市整備]
일반주제명  
도시 재개발[都市再開發]
기타저자  
구자훈 , 1959- , 具滋勳
기타저자  
김영석 , 1970- , 金永石
기타저자  
김형일 , 1969-
기타저자  
김호정 , 1972- , 金祜廷
기타저자  
김환용 , 1977-
기타저자  
우신구 , 1963- , 禹申九
기타저자  
이재민 , 1979- , 李在敏
기타저자  
임동원
기타저자  
장항준
기타저자  
최순섭 , 1978- , 崔順燮
기타저자  
최혜영 , 1982-
기타저자  
한광야 , 1970- , 韓廣野
기타저자  
오다니엘
기타저자  
한국도시설계학회
기타저자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가격  
\35,000
Control Number  
joongbu:636957
책소개  
한국의 도시를 살리는 다섯 가지 해법

한국도시설계학회에서는 최근 우리 일상에서 삶의 질을 높여온 도시설계 사례들을 모아 그 배경과 의미를 기록한 《한국의 도시재생: 도시를 살리는 다섯 가지 해법》을 출간했다. 또한 이 책은 한국 도시설계의 현재를 세계 도시들과 공유하고 그 평가의 기회를 마련하고자, 관련 도서로서는 보기 드물게 한글과 영문으로 함께 출간되었다.
이 책에서는 도시설계 분야 13분의 전문가들이 2000년대 전후부터 현재까지 우리 도시환경을 개선하며 일상생활의 질적 향상에 기여했다고 평가하는 전국 각지의 프로젝트를 발굴하였다. 경주, 광주, 대구, 부산, 서울, 세종시, 연천, 울산, 인천, 충주 등 20개 프로젝트에 대하여 각각의 프로젝트 기획 목적과 추진 배경, 참여자의 계획 수립과 실행 과정, 도시설계적 특성과 사후 평가 등의 내용을 고찰하며 그 의미와 가치를 담아냈다.
특히 이 책은 신도시 개발을 목적으로 추진된 도시설계보다는 기존 원?구도심 도시문제 해결을 위해 진행된 도시재생 사례들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이에 이 책에서는 급속한 성장과 쇠퇴 과정을 겪고 있는 우리 도시들이 당면한 도시 문제들에 보다 포용적이고 효과적으로 대처하고자, 다수의 구성원이 참여하는 사회적 가치의 공유와 의견수렴 과정 그리고 물리적 환경개선을 위한 대안 도출과 의사결정을 기반으로 진행되고 있는 현대 도시설계의 집단 지성의 협력 과정을 기술하였다.
우리 도시에서 이러한 노력은 인구의 감소, 산업구조의 변화, 주거환경의 노후화, 도시 외곽의 개발로 인한 원?구도심의 쇠퇴와 커뮤니티의 해체 상황을 극복하고자, 이미 2000년대 중반부터 경제적, 사회적, 물리적, 환경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한 도시재생 사업으로 본격화되어 왔다.
이 책은 작게는 동네의 변화와 커뮤니티의 역할, 공공의 역할이 집중된 도심의 쇠퇴지 재개발, 공장지의 산업재생, 수변지의 수변재생, 대중교통체계와 환승거점의 기능 변화를 포함해 모두 다섯 개의 주제를 소개한다. 먼저 챕터 1은 동네의 변화와 헤리티지의 보존 노력, 챕터 2는 공공주도의 재생과 재개발사업, 챕터 3은 대규모 유휴지와 수변공간의 재생 노력, 챕터 4는 도시의 대중교통체계와 교통환승거점의 조성 과정, 챕터 5는 일상환경에서의 생활문화거점 조성의 노력으로서 도시설계를 다루고 있다.
최근 한국에서 진행된 대표적인 도시재생 사례들을 모아, 사회적 가치를 논의하고, 실행과정의 이슈들을 공론화하며, 도시설계의 이론을 넘어 공공과 민간을 포함한 이해집단의 협력작업을 유도하여, 보다 포용적이고 합리적인 문제해결 방안들을 공유하고 탐색하고자 하는 데에 이 책의 출간 의미가 있다.
New Books MORE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Подробнее информация.

  • Бронирование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моя папка
материал
Reg No. Количество платежных Местоположение статус Ленд информации
EM0397272 711.40951 한16ㅎ c.2 고양캠퍼스 기증도서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EM0397273 711.40951 한16ㅎ c.3 고양캠퍼스 기증도서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EM0399991 711.40951 한16ㅎ 고양캠퍼스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Бронирование доступны в заимствований книги. Чтобы сделать предварительный заказ, пожалуйста, нажмите кнопку бронирование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Related books

Related Popular Books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