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한국 중세의 사상과 문화
한국 중세의 사상과 문화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49966540 93910 : \39,000
- DDC
- 951.1901-20
- 청구기호
- 951.4 김82ㅎ
- 저자명
- 김창현 , 1960- , 金昌賢
- 서명/저자
- 한국 중세의 사상과 문화 / 김창현 지음
- 발행사항
- 파주 : 경인문화사, 2022
- 형태사항
- 518 p. : 천연색삽화, 지도 ; 23 cm
- 총서명
- 고려사학회연구총서 ; 33
- 주기사항
- 2023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교육부 우수학술도서임
- 주기사항
- 기증 : 대한민국학술원
- 서지주기
-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 일반주제명
- 한국 중세사[韓國中世史]
- 일반주제명
- 한국사[韓國史]
- 통일총서명
- 고려사학회연구총서 ; 33
- 가격
- \39,000
- Control Number
- joongbu:636885
- 책소개
-
고려시대의 사상과 문화를 중심으로
한국중세사의 전반적인 흐름을 탐색하다
본 저서는 한국사에서 전형적인 중세라 할 수 있는 고려시대의 사상과 문화를 위주로 하면서 통일신라의 그것과의 접합점을 찾아보는 한편 조선시대의 그것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고찰해 보려한 작업의 결과물이다. 연구자들은 고대에서 중세로의 전환에 대해 사회경제적으로 노동 중심에서 토지 중심으로의 전환을 가지고 설명을 많이 해 왔다. 사상과 문화 측면에서 중세의 특징을 정의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닌데, 고대와 중세와 근대의 차이는 사상?문화의 대중성 수준, 종교?도덕과 과학기술의 상호간 중요도, 인간성 발현의 수준 등을 기준으로 어느 정도 판단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신라는 외세를 끌어들인 것은 비판을 받지만 삼국을 통일해 한국의 정체성과 문화의 뿌리를 만든 것은 부정하기 어렵다. 고려는 후삼국을 통일하고 발해 유민을 많이 받아들여 명실공히 한국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문화통합을 달성했고 이러한 문화자산을 일정부분 조선에 넘겨준다. 이렇게 형성된 한국 중세의 사상과 문화에 대해 흐름과 특징을 탐색하는 한편 제대로 규명되지 못한 것에 대해서 조명해 보려 한다.
MARC
008231121s2022 ggkab 001c kor■020 ▼a9788949966540▼g93910▼c\39,000
■035 ▼a(KERIS)BIB000016497878
■08201▼a951.1901▼220
■090 ▼a951.4▼b김82ㅎ
■1001 ▼a김창현▼g金昌賢▼d1960-
■24510▼a한국 중세의 사상과 문화▼d김창현 지음
■260 ▼a파주▼b경인문화사▼c2022
■300 ▼a518 p. ▼b천연색삽화, 지도▼c23 cm
■49010▼a고려사학회연구총서▼v33
■50010▼a2023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교육부 우수학술도서임
■50010▼a기증 : 대한민국학술원
■504 ▼a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650 8▼a한국 중세사[韓國中世史]
■650 8▼a한국사[韓國史]
■830 0▼a고려사학회연구총서▼v33
■9500 ▼b\39,000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Info Détail de la recherche.
- Réservation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My Folder
Reg No. | Call No. | emplacement | Status | Lend Info |
---|---|---|---|---|
EM0397279 | 951.4 김82ㅎ c.2 | 고양캠퍼스 기증도서 | 대출가능 |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EM0399917 | 951.4 김82ㅎ | 충청캠퍼스 보존서고(웅재관109호) | 대출가능 |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 Les réservations sont disponibles dans le livre d'emprunt. Pour faire des réservations, S'il vous plaît cliquer sur le bouton de réser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