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일제 사진엽서, 시와 이미지의 문화정치학
일제 사진엽서, 시와 이미지의 문화정치학 / 최현식 지음
Contents Info
일제 사진엽서, 시와 이미지의 문화정치학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91155505540 93810 : \40,000
DDC  
306-20
청구기호  
951.6 최94ㅇ
저자명  
최현식 , 1967- , 崔賢植
서명/저자  
일제 사진엽서, 시와 이미지의 문화정치학 / 최현식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22
형태사항  
765 p. : 삽화(일부천연색), 초상 ; 23 cm
총서명  
知의회랑 Arcade of knowledge ; 029
주기사항  
2023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교육부 우수학술도서임
주기사항  
기증 : 대한민국학술원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기금정보  
2017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NRF-2017S1A6A4A01020420)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일반주제명  
문화 정치학[文化政治學]
일반주제명  
일제 강점기[日帝强占期]
가격  
\40,000
Control Number  
joongbu:636874
책소개  
일제 사진엽서에 소환된
‘조선적인 것’을 향한
지배와 통치의 문화정치학

사진과 그림 배경에 일본어나 일ㆍ선어 병용의 시가, 민요와 노래, 시, 짧은 감상문, 소개문, 대화 등을 더해 대량으로 발행ㆍ유통되었던 일제의 조선 대상 사진엽서들을 다룬 연구서. 식민지기에 탄생한 이 특별한 제작물은 제국인의 이국 취향에 맞춰 제공되던 문화상품인 동시에, 일제, 곧 천황의 목소리를 내밀하게 발화하고 전달하는 통치의 매체였다. 특히 반(半)개봉 형식의 소통 수단으로서 감추거나 드러내는 상반된 전략을 적절히 구사하면서 일본과 조선 사이의 ‘우승열패(優勝劣敗)’를 견고히 해나간 미디어기도 하다. 식민권력은 이를 활용해 교감 없는 시선으로 식민지인의 모든 것을 왜곡하거나 극히 작은 요소조차 민족적인 것 전체로 부풀리는 편견과 정형의 사유와 상상력을 발휘했다.
저자는 이 책에서 다양한 일제 사진엽서들을 관통하며 규율하는 문화정치학의 이념적ㆍ미학적 본질과 특성 그리고 방법의 문제를 검토하고 성찰하면서, 그 안에 새겨진 일제의 일그러진 식민주의적 무/의식과 욕망을 분석해나가고 있다. 아울러 식민권력에 의해 소외되었던 ‘조선적인 것’들을 향한 진심어린 호명과 환대 그리고 그 역동적인 생명력의 재발견을 촉구한다. 성균관대학교출판부 학술기획총서 ‘知의회랑’의 스물아홉 번째 책.
New Books MORE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פרט מידע

  • הזמנה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התיקיה שלי
גשמי
Reg No. Call No. מיקום מצב להשאיל מידע
EM0397208 951.6 최94ㅇ c.2 고양캠퍼스 기증도서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EM0399906 951.6 최94ㅇ 충청캠퍼스 보존서고(웅재관109호)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הזמנות זמינים בספר ההשאלה. כדי להזמין, נא לחץ על כפתור ההזמנה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Related books

Related Popular Books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