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한반도 시민론
한반도 시민론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63475318 93340 : \31,500
- DDC
- 301.0951-20
- 청구기호
- 301.0951 선66ㅎ
- 저자명
- 선우현
- 서명/저자
- 한반도 시민론 / 선우현 ; 김화순 [공]편저 ; 선우현 [외]지음
- 발행사항
- 과천 : 진인진, 2022
- 형태사항
- 614 p. : 삽화,표 ; 23 cm
- 주기사항
- 2023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교육부 우수학술도서임
- 주기사항
- 기증 : 대한민국학술원
- 주기사항
- 공지은이: 권수현, 노현종, 이지연, 박영자, 김윤희, 남경우, 김화순, 이민영, 이수정, 최선경, 박재인, 안지영
- 서지주기
- 각 장마다 참고문헌 수록
- 서지주기
- 서지적 각주 수록
- 기타저자
- 김화순
- 기타저자
- 권수현
- 기타저자
- 노현종
- 기타저자
- 이지연
- 기타저자
- 박영자
- 기타저자
- 김윤희
- 기타저자
- 남경우
- 기타저자
- 이민영
- 기타저자
- 이수정
- 기타저자
- 최선경
- 기타저자
- 박재인
- 기타저자
- 안지영
- 기타저자
- 한반도시민론 발간위원회
- 가격
- \31,500
- Control Number
- joongbu:636847
- 책소개
-
이 책은 ‘한반도의 종전과 평화’라는 희망이 크게 부풀어 올랐다가 꺼져가기 시작한 2020년도 겨울 11월 26~27일 양일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렸던 《분단체제 담론의 해체와 한반도시민의 등장: ‘먼저 온 통일’에서 ‘시민’으로》 정책연합 학술대회에서 발표되었던 글들을 논문으로 정리하는 과정에서 ‘한반도시민론’이라는 새로운 담론으로 발전시킨 것이다. 본 연구서의 기획 및 출간에 참여한 집필자들은 《한반도시민의 등장》 학술대회에서 철학, 사회학, 여성학, 문화인류학, 역사학, 정치학, 사회복지학 등 다양한 학문적 배경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분단체제의 해체와 한반도 평화체제의 구축, 나아가 민족통일의 구현에 대해 논의를 한 이후, 새로운 실천 주체로서의 한반도 시민 개념을 염두에 두고 연구해 왔다. 그리고 그 일차적인 성과물을 세상에 내놓게 되었다. 특히 통일에 대한 회의적인 비관적 전망이 난무하는 가운데, 한반도 평화체제의 구축 과업에서 한발 더 나아가 민족통일론을 기반으로 시민성과의 융합을 다시금 정면으로 내세운 데에는, 현시기야말로 ‘사회적 연대와 시민성에 입각한 (민족)통일론의 재구성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인식에 의거하고 있다.
MARC
008231121s2022 ggkad b 000c kor■020 ▼a9788963475318▼g93340▼c\31,500
■035 ▼a(KERIS)BIB000016630628
■082 ▼a301.0951▼220
■090 ▼a301.0951▼b선66ㅎ
■1001 ▼a선우현
■24510▼a한반도 시민론▼d선우현▼e김화순 [공]편저▼e선우현 [외]지음
■260 ▼a과천▼b진인진▼c2022
■300 ▼a614 p. ▼b삽화,표▼c23 cm
■50010▼a2023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교육부 우수학술도서임
■50010▼a기증 : 대한민국학술원
■50000▼a공지은이: 권수현, 노현종, 이지연, 박영자, 김윤희, 남경우, 김화순, 이민영, 이수정, 최선경, 박재인, 안지영
■504 ▼a각 장마다 참고문헌 수록
■504 ▼a서지적 각주 수록
■7001 ▼a김화순
■7001 ▼a권수현
■7001 ▼a노현종
■7001 ▼a이지연
■7001 ▼a박영자
■7001 ▼a김윤희
■7001 ▼a남경우
■7001 ▼a이민영
■7001 ▼a이수정
■7001 ▼a최선경
■7001 ▼a박재인
■7001 ▼a안지영
■710 ▼a한반도시민론 발간위원회
■9500 ▼b\3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