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한국도시의 역사
한국도시의 역사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30315065 93350 : \25,000
- DDC
- 352.16-20
- 청구기호
- 307.760951 정14ㅎ
- 저자명
- 정경연 , 1960- , 鄭景衍
- 서명/저자
- 한국도시의 역사 / 정경연 ; 변병설 공 지음
- 발행사항
- 서울 : 박영사, 2022
- 형태사항
- xi, 355 p. : 삽화, 지도 ; 25 cm
- 주기사항
- 2023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교육부 우수학술도서임
- 주기사항
- 기증 : 대한민국학술원
- 서지주기
-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 일반주제명
- 한국 도시[韓國都市]
- 일반주제명
- 도시사[都市史]
- 일반주제명
- 도시 행정[都市行政]
- 기타저자
- 변병설 , 1964- , 邊秉卨
- 가격
- \25,000
- Control Number
- joongbu:636842
- 책소개
-
역사적으로 도시는 인류문명의 발상지다. 도시가 형성된 곳에 문명이 발달하고, 문명이 집적된 곳에 도시가 발전하게 되었다. 도시는 오랜 시간 동안 사람들의 활동이 켜켜이 쌓인 현장으로서 인류의 지혜가 모여 있는 곳이다. 사람이 살기에 평안한 정주지를 택해 마을을 형성하고 나아가 도시를 만들었을 것이다. 인류의 지성이 찬란한 도시문화를 꽃피우게 한 것이다.
도시를 연구하는 도시계획가로서 우리나라 도시가 어떻게 발달해 왔는지 그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도시의 현재 모습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도시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과거의 도시와 현재의 도시는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도시역사를 탐구하는 것은 도시의 뿌리를 찾는 과정이기도 하다. 도시가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그 근원을 파악하는 것이다. 그 터전에 우리 선조들의 삶의 흔적과 긍지가 담겨있을 것이다.
대학에서 도시계획을 가르치며 논의했던 주제는 대부분 서양의 도시계획제도와 도시형태였던 것 같다. 직선으로 뻗어있는 바둑판 모양의 효율적인 교통체계, 각각의 기능을 존중해 용도지역을 나누는 기능적인 토지이용체계 등 서양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도시계획 주제가 주를 이루었다. 서양도시에 치중하여 학습하다 보니, 우리나라 도시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 의문이 들었다. 우리 선조들이 만든 도시는 서양의 도시와 어떤 차이가 있을까? 우리나라 도시의 기원을 찾아보는 것은 의미 있을 것이다.
이왕 우리나라 도시의 역사를 파악하는 일이니, 상고시대부터 살펴보고자 하였다. 배달국시대부터 고조선, 삼한, 부여시대를 거쳐 한사군시대를 고찰한다. 이어서 고구려 백제 신라의 고대시대를 살펴보고 남북국시대와 고려시대의 도시를 살펴본다. 이후 조선시대의 도시를 살펴보는데, 한양천도 과정과 한양으로 천도, 화성신도시 건설, 조선시대의 지방도시를 고찰한다. 이어서 개항기와 일제강점기의 도시를 다룬다. 마지막으로 현대도시로서 해방이후의 도시, 1960년대 도시, 1970년대 도시, 제1기 신도시, 제2기 신도시, 제3기 신도시를 살펴본다.
상고시대의 도시부터 현대도시까지 살펴보면, 도읍지를 중심으로 도시가 발전하였고 천도로 도시가 발달하기도 하였다. 또한 도시가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되기도 하였지만 최고 의사결정자의 정책결정에 의해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도시가 있다. 도시를 새롭게 계획하든, 기존 도시를 재생하든 도시의 원래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것은 필요하다. 도시의 역사자원을 잘 살리는 것이 도시의 가치를 높이는 것이고 도시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일이라 사료된다.
본서는 도시역사에 대한 이론을 담은 것으로서 국토교통부가 시행한 도시재생 전문인력 양성사업?으로 지원되었다. 국토교통부에 특별한 감사를 드린다. 또한 도시역사를 강의하기 위해 정리한 내용을 한 권의 책자로 발간해 준 박영사에 깊은 감사를 드린다. 도시역사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