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한국 전통사상의 사회학적 도전
한국 전통사상의 사회학적 도전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편집 ; 유승무 외 지음
Inhalt Info
한국 전통사상의 사회학적 도전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91165161484 93300 : \31,000
DDC  
301.09519-20
청구기호  
390.0951 계34ㅎ
단체저자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서명/저자  
한국 전통사상의 사회학적 도전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편집 ; 유승무 외 지음
발행사항  
대구 : 계명대학교 출판부, 2022
형태사항  
385 p. ; 23 cm
총서명  
계명한국학총서 ; 57
주기사항  
2023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교육부 우수학술도서임
주기사항  
기증 : 대한민국학술원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일반주제명  
사회학[社會學]
일반주제명  
한국 사회 사상[韓國社會思想]
일반주제명  
전통 사상[傳統思想]
기타저자  
유승무 , 1962- , 柳承武
기타저자  
이현지 , 1969- , 李炫知
기타저자  
정승안 , 1969- , 鄭勝安
기타저자  
김보경 , 1977- , 金寶京
기타저자  
오세근 , 1959- , 吳世根
기타저자  
박수호 , 1970- , 朴秀浩
기타저자  
이일래
기타저자  
이명호 , 1974- , 李明滬
기타저자  
홍승표 , 1957- , 洪勝杓
통일총서명  
계명한국학총서 ; 57
가격  
\31,000
Control Number  
joongbu:636841
책소개  
본 저서인 「한국 전통사상의 사회학적 도전」은 사회학의 핵심 주제인 사회질서와 사회변동의 문제를 다룬 연구 성과를 모았다. 사회학(Sociology)은 ‘사회(Socio-)’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logy)’이다. 사회학의 대상인 특정의 ‘사회’는 그 사회가 형성되고 발전되어온 유구한 역사와 문화적 전통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사회학의 ‘학문적 개념’들은 ‘그 사회’의 역사와 문화적 전통을 토대로 만들어질 수밖에 없다.
서구에서는 산업혁명을 거치면서 농경문화를 바탕으로 한 전통사회와는 전혀 다른 복잡한 사회가 등장했다. 사회학은 이렇게 새롭게 등장한 사회를 연구하고 미래를 예측-대비하기 위해서 출발한 상대적으로 역사가 짧은 학문이다.
사회를 대상으로 하는 사회학의 개념들은 모두 그 사회의 역사와 문화적 전통을 기반으로 만들어질 수밖에 없다. 그래서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사회학적 개념들은 서구의 역사와 문화적 전통을 담고 있다. 이런 개념들로 한국 사회를 설명할 때는 설명되지 않는 것들이 많고, 이런 부분들은 예외로 무시되기 쉽다. 그러나 한국 사회의 특수성, 한국 사회만의 특성은 이런 예외로 무시되는 부분에 담겨있다.
따라서 한국 사회학이 서구 중심적인 사회학의 틀을 벗어나는 위해서는 모든 사회에서 보이는 보편적 개념뿐만이 아니라, 한국 사회를 설명하는 우리의 역사와 문화적 전통을 바탕으로 한 개념들이 만들어져야 한다. 이 책은 이런 작지만 힘겨운 노력의 산물이다.
New Books MORE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Buch Status

  • Reservierung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Meine Mappe
Sammlungen
Registrierungsnummer callnumber Standort Verkehr Status Verkehr Info
EM0397278 390.0951 계34ㅎ c.2 고양캠퍼스 기증도서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EM0399872 390.0951 계34ㅎ 충청캠퍼스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Kredite nur für Ihre Daten gebucht werden. Wenn Sie buchen möchten Reservierungen, klicken Sie auf den Button.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Related books

Related Popular Books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