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하나논리 : 동아시아 사회이론의 모색
하나논리  : 동아시아 사회이론의 모색 / 김성국 지음
내용보기
하나논리 : 동아시아 사회이론의 모색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88961474252 93300 : \32,000
DDC  
301.01-20
청구기호  
301.01 김54ㅎ
저자명  
김성국
서명/저자  
하나논리 : 동아시아 사회이론의 모색 / 김성국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이학사, 2023
형태사항  
407 p. ; 24 cm
주기사항  
2023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교육부 우수학술도서임
주기사항  
기증 : 대한민국학술원
주기사항  
찾아보기: p. 399-407
서지주기  
참고문헌: p. 389-398
서지주기  
서지적 각주 수록
가격  
\32,000
Control Number  
joongbu:636839
책소개  
유불도선을 동아시아 지혜의 정수로 확대하는 동아시아형 사회이론

이 책은 한국의 대표적인 아나키스트 사회학자인 김성국이 필생의 학문적 열정을 쏟아부은 역작으로 서구 이론의 수준에 상응하는 동아시아형 사회이론을 만들어보려는 야심 찬 시도를 담고 있다. ‘하나논리’는 세상만사와 우주 삼라만상을 ‘하나(The Oneness)’라는 개념을 통해 이해하고 설명하려는 사회이론이다. 이론사적 맥락에서 보자면 탈서구 사회학의 한 흐름을 구성하는 하나논리는 기존 서구 사회이론의 동아시아화 혹은 동서 이론의 잡종화를 시도한다.
하나논리는 동아시아의 고전적 지혜인 유불도(유가, 불가, 도가)로부터 그 이론적 자원을 발견하고, 한국 고유의 정신문화 자산인 선가를 구성하는 『천부경』과 『삼일신고』로부터 기존 유불도를 아우르며 상통하는 하나논리를 발견한다. 그래서 한국 고유의 선가가 포함된 유불도선을 동아시아 지혜의 정수로 확대한다. 하나는 동아시아 지혜인 유불도선으로부터, 특히 『천부경』을 기반으로 하는 선가로부터 도출한 천지인합일을 의미한다. 천지인합일에서 합일로 규정되는 하나가 바로 하나논리의 하나이다. 그러므로 하나에는 이미 천지인이라는 셋이 포함되어 있다. 하나는 셋이면서 이 셋이 또한 하나라는 삼일논리, 삼라만상은 그 외형적 개별성이나 차이성에도 불구하고 모두 하나로 연결된다는 통일논리, 삼라만상의 생성소멸은 궁극적으로 모두 하나로 되돌아간다는 깨달음을 요구하는 귀일논리가 하나논리의 세 가지 특성을 이룬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나의폴더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EM0397257 301.01 김54ㅎ c.2 고양캠퍼스 기증도서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EM0399870 301.01 김54ㅎ 충청캠퍼스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