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교육 현상의 사회과학적 해석 : 교육사회학 논문묶음 IV
교육 현상의 사회과학적 해석 : 교육사회학 논문묶음 IV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25417127 93370 : \19,000
- DDC
- 306.43-20
- 청구기호
- 370.19 오66ㄱ
- 저자명
- 오욱환
- 서명/저자
- 교육 현상의 사회과학적 해석 : 교육사회학 논문묶음 IV / 오욱환 편저
- 발행사항
- 파주 : 교육과학사, 2022
- 형태사항
- 453 p. : 도표 ; 23 cm
- 주기사항
- 2023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교육부 우수학술도서임
- 주기사항
- 기증 : 대한민국학술원
- 서지주기
-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 일반주제명
- 교육 사회학[敎育社會學]
- 일반주제명
- 교육 정책[敎育政策]
- 기타저자
- 오욱환 , 1948- , 吳旭煥
- 가격
- \19,000
- Control Number
- joongbu:636578
- 책소개
-
현 정부가 지지도 하락으로 위기를 맞고 있다. 그 원인 가운데 하나는 “5세 입학” 추진안 발표다. 과거 이명박 정부도 인수위원회의 “초등학교 영어몰입교육” 시도로 호되게 당한 바 있다. 고교 평준화, 특수목적고등학교, 입학사정관제 등의 교육정책은, 우아한 명분으로 추진되었지만, 가족이기주의적 부모주의로 인해 양극화와 이질화를 가속하고 있다. 역대 정부는 한국 사회의 교육 문제에 대해 매우 안일한 시각을 갖고 있다. 한국 교육정책의 실패 원인을 상상력만으로도 열다섯 가지는 들 수 있다. 교육정책이 성공하려면 세계 최고의 자녀교육열을 가진 그러나 경제·사회·문화의 자본은 불평등한 한국의 부모들을 설득해야 한다. 국가는 공적 가치를 높이기 위해 교육정책을 구상할지라도 부모는 사적 손익을 따진다. 어린 자녀를 둔 부모는 영유아 보육·교육정책에 극도로 예민하다. 그 이유는 자신들의 일상과 자녀의 미래가 달려 있기 때문이다. 부모의 소수정예주의 자녀관으로 한국은 초저출산 국가로 전락하였다. 어린이가 사라지면서 관련된 산업이 하나씩 무너지고 국가는 총체적 위기를 맞고 있다. 이 책은 한국 교육의 현상을 직시하고 간파하며 정책을 진단해 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