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성건강 = Sexual health : 성교육상담간호 : 건강한 성건강 전문가를 위한 지침서
성건강 = Sexual health : 성교육상담간호 : 건강한 성건강 전문가를 위한 지침서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59550850 93510 : \48,000
- 국립중앙청구기호
- 512.8-16-471
- KDC
- 512.8-6
- DDC
- 610.73613.9-20
- 청구기호
- 613.95 김14ㅅ2
- 저자명
- 김계숙 , 1948-
- 서명/저자
- 성건강 = Sexual health : 성교육상담간호 : 건강한 성건강 전문가를 위한 지침서 / 김계숙 지음
- 판사항
- 둘째판
- 발행사항
- 파주 : 군자출판사, 2016
- 형태사항
- xiii, 602 p. : 천연색 삽화, 도표 ; 29 cm
- 주기사항
- 이전판서명: 성건강 간호
- 서지주기
- 참고문헌(p. 577-587)과 찾아보기(p. 589-602)수록
- 일반주제명
- 성상담
- 일반주제명
- 간호학
- 일반주제명
- 성(생리학)
- 통일서명
- 성건강 간호
- 기타서명
- 성건강 간호
- 전자적 위치 및 접속
- 로그인을 한후 보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 가격
- \48,000
- Control Number
- joongbu:633393
- 책소개
-
본 책은 가치 명료화 훈련을 통해 자신의 성적 자아에 대한 자기이해를 촉진시키고자 하였다. 이 훈련은 학습자들과 교육·상담자들이 대상자의 감정과 사고, 태도와 신념을 확인하고 대 상자의 성에 대한 확신과 행동을 고려하여 대상자의 성가치 체계를 이해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성에 대해 자신의 생각과 다른 사람의 생각이 서로 다르거나 상충하는 것을 발견하는 학습 과 토론의 장은 개인의 성장을 촉진시킬 것이다.
각 장은 인간의 성에 대한 실제적인 연구에 근거한 성건강 관련 지식을 제공한다. 성건강 전 문가가 대상자의 성건강 요구를 확인하고 중재하는 교육·상담 과정에서 논리적 근거가 이론과 추론에 의해서 지지를 받았을 때 대상자의 변화를 더욱 촉진시킬 수 있다. 각 장별로 성건강 문제를 확인하고 해결하기 위해 비판적 사고를 교육, 상담, 간호에 적용하였다. 간호과정 단계에서 사정, 진단, 계획, 수행에 필요한 정의적 학습과 인지 학습 및 의사소 통 기술을 제시하였으며 총체적 건강의 부분으로서 성건강을 평가하였다.
특히 문제 확인을 위 한 첫 단계인 주관적, 객관적 자료 수집은 대상자와의 의사소통이 매우 중요하다. 간호사의 행 동, 표현된 태도, 사용된 언어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성건강전문가는 성건강 지식에 기반을 둔 통찰력 있는 의사소통 기술로 교육·상담·간호과정에서 대상자의 성건강에 대한 요구를 공감하고, 수용하며,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중재해야 한다.
성건강 영역에서 간호사의 역할은 교육자이자 상담자이다. 교육자로서 간호사는 믿을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현재 또는 잠재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거나 경감시키고 대상자들이 그들 자신이나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성건강에 대해 책임 있는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담자로서 간호사 는 주의 깊게 경청하고 감정표현을 북돋아 주고, 수용해 주며 대상자들이 성적 문제, 성적 가치관, 기 대 및 불안 등을 잘 표현할 수 있도록 지지해 주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