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분단 이전 북한 사람들은 무엇을 먹고 살았을까? : 일제 강점기 북한 음식
분단 이전 북한 사람들은 무엇을 먹고 살았을까? : 일제 강점기 북한 음식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32923154 03300 : \13,000
- DDC
- 320.951-20
- 청구기호
- 320.951 주64ㅂ
- 저자명
- 주영하
- 서명/저자
- 분단 이전 북한 사람들은 무엇을 먹고 살았을까? : 일제 강점기 북한 음식 / 주영하 지음.
- 발행사항
- 파주 : 열린책들, 2023.
- 형태사항
- 200 p. : 삽화 ; 19 cm.
- 주기사항
- 국립통일교육원 기획, 제작
- 일반주제명
- Cooking, Korean.
- 일반주제명
- Food Korea(Nouth)
- 기타저자
-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
- 가격
- \13,000
- Control Number
- joongbu:628684
- 책소개
-
왜 일제 강점기 북한 음식에 주목하는가?
국립통일교육원과 열린책들이 함께 기획하고 제작한 평화·통일 교육용 책이 새롭게 출간되었다. 무엇보다 다양한 주제를 통해 북한을 바로 알고, 독자 스스로 평화·통일의 필요성을 생각해 볼 수 있도록 기획한 것으로 북한에 관한 새로운 자료로 활용할 뿐 아니라 대중적으로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식인문학자 주영하는 일제 강점기 북한 음식에 주목하는 『분단 이전 북한 사람들은 무엇을 먹고 살았을까?』를 선보인다. 한국 전쟁 이후 북한 사회, 그중에서 북한 각 지역의 음식 문화는 많은 변화를 겪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후기에도 북한 지역은 황해도와 평안도를 관서(關西)로, 함경도를 관북(關北)으로 나누어 부를 정도로 지역적 편차가 컸다. 따라서 북한의 음식 문화 역시 관서와 관북으로 나누어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오늘날에도 마찬가지여서, 북한에 대해 이해하려면 지역적 차이를 전제로 해야 한다. 주영하는 일제 강점기 북한의 음식 생태를 평안도, 황해도, 함경도로 나눠서 파악하며, 평양 음식부터 개성 음식까지 지역별 대표적인 먹을거리를 그 뿌리부터 자세하게 파고든다. 무엇보다 우리도 사랑하는 평양냉면이나 함흥냉면, 그리고 다소 낯선 함흥 농마국수나 녹두물 낭화 등을 함께 다룬다. 이렇게 지역으로 나눠서 살펴보면, 각 지역 음식 문화의 특성을 더 명확히 이해할 수 있다. 차이를 이해하는 일은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는 과정이며, 서로의 차이를 수용해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다.
MARC
008230418s2023 ggka 000c kor■020 ▼a9788932923154▼g03300▼c\13,000
■035 ▼a(KERIS)BIB000016698188
■08204▼a320.951▼220
■090 ▼a320.951▼b주64ㅂ
■1001 ▼a주영하
■24510▼a분단 이전 북한 사람들은 무엇을 먹고 살았을까?▼b일제 강점기 북한 음식▼d주영하 지음.
■260 ▼a파주▼b열린책들▼c2023.
■300 ▼a200 p.▼b삽화▼c19 cm.
■500 ▼a국립통일교육원 기획, 제작
■650 0▼aCooking, Korean.
■650 0▼aFood▼zKorea(Nouth)
■710 ▼a통일부▼b국립통일교육원.
■9500 ▼b\13,000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Info Détail de la recherche.
- Réservation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My Fol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