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대한민국 신선마을 : 무형유산 신선강림 전설을 품은 명승 10선
대한민국 신선마을 : 무형유산 신선강림 전설을 품은 명승 10선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46081963 93680 : \20,000
- DDC
- 915.19-20
- 청구기호
- 915.1 김74ㄷ
- 저자명
- 김정섭 , 1970- , 金正燮
- 서명/저자
- 대한민국 신선마을 : 무형유산 신선강림 전설을 품은 명승 10선 / 김정섭 지음
- 발행사항
- 파주 : 한울, 2022
- 형태사항
- 158 p. : 천연색삽화 ; 21 cm
- 서지주기
- 참고문헌 수록
- 일반주제명
- 국내 여행[國內旅行]
- 일반주제명
- 신선(도교)[神仙]
- 가격
- \20,000
- Control Number
- joongbu:628632
- 책소개
-
전설도, 비경도, 마을 이름도 모조리 ‘신선’!
전국 딱 10곳, 신비의 무형 유산 요람을 가다
도심과 오지를 망라해 발품 연구로 샅샅이 발굴한 신선마을 첫 공개!
지친 일상을 탈출해 ‘선계’의 재미와 내력과 가치를 만끽해 보자
1989년 유네스코는 ‘전통문화 및 민속보호에 관한 권고’를 발표하며 무형유산의 형태로서 언어·문학·신화 등 여러 유형을 정의했고, 2003년에는 여기에 더해 전설·설화와 같은 구전전통처럼 오랫동안 전승되어 온 표현물을 포함시켰다. 그중 지명 유래 전설은 마을의 역사와 전통적·예술적 소산은 물론이고, 주민들과 조상 대대로의 정신적 가치가 내재하기에 문화유산 전승 차원에서 의미가 깊다.
하지만 한국에서 지명 유래 전설은 풍설·풍수를 뒷받침하는 수준에서 다뤄졌을 뿐, 문화유산이나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차원에서 연구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 특히 신선 스토리가 마을 지명의 유래가 된 경우에는 마을공동체의 역사와 정신적 가치가 깃들어 있는데도, 전통문화 보존·전승·발전 차원의 연구가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한국 문화자원의 발굴과 보존에 애정이 깊은 저자는 지리정보 분석을 통해 신선마을 10곳을 선정하고, 문헌조사, 주민 구술채록, 현지답사 등 민속지학 방법으로 신선전설의 무형유산적인, 그리고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로서의 가치와 중요성을 조명했다. 천혜의 신선마을 발굴기와 생생한 화보를 가득 담은 이 책으로, 자연촌에 녹아든 신선문화의 매력에 빠져보자.
detalle info
- Reserva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Mi carpeta
número de libro | número de llamada | Ubicación | estado | Prestar info |
---|---|---|---|---|
EM0394185 | 915.1 김74ㄷ | 고양캠퍼스 대출실 | 대출가능 |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EM0394186 | 915.1 김74ㄷ c.2 | 고양캠퍼스 대출실 | 대출가능 |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 Las reservas están disponibles en el libro de préstamos. Para hacer reservaciones, haga clic en el botón de reserv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