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과거사 청산, '민주화'를 넘어 '사회화'로
과거사 청산, '민주화'를 넘어 '사회화'로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91402171 93300 : \10,000
- DDC
- 951.9-20
- 청구기호
- 320.951 김64ㄱ
- 저자명
- 김영수 , 1963- , 金永秀
- 서명/저자
- 과거사 청산, 민주화를 넘어 사회화로 / 김영수 지음
- 발행사항
- 서울 : 메이데이, 2008
- 형태사항
- 243 p. ; 21 cm
- 총서명
- 물고기 학교
- 주기사항
- 기증: 중부대학교 현영미 교수(EM0393461)
- 기금정보
- 2004년도 한국학술진흥재단의 학술연구교수에 대한 지원사업으로 수행한 연구의 결과물임(KRF-2004-050-B-0005)
- 일반주제명
- 과거사 청산[過去史淸算]
- 일반주제명
- 한국 정치[韓國政治]
- 전자적 위치 및 접속
- 로그인을 한후 보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 가격
- \10,000
- Control Number
- joongbu:627422
- 책소개
-
과거사 청산운동의 성과와 한계를 돌이켜 보다!
〈과거사 청산, 민주화를 넘어 사회화로〉는 새로운 미래를 위한 과거사 청산을 이야기하는 책이다. 2001년부터 과거사 청산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저자는 그간 고민해온 생각의 편린들을 이 책에 정리하였다. 과거사 정리정책이 국가 주도로 진행되면서, 과거사 청산이 권력의 차별화된 정통성을 확보하는 수단으로 전락해왔다고 비판하고 있다.
이 책은 과거사 정리정책이 민주화라는 관점을 넘어 사회화의 관점에서 그 한계를 극복해나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과거사 청산 기구가 국가권력으로부터 독립되고, 과거사 청산 활동에 대한 사회적 감시와 통제의 구조를 마련하는 것이 과거사에 대한 진실 규명과 화해를 위한 최소 조건이라는 것이다. 과거사 청산운동은 사회운동의 주요한 과제이며, 그 사회운동의 주체인 사회구성원들의 과제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1부에서는 과거사 청산을 왜 해야 하고, 누구를 대상으로 해야 하는지 등의 의문을 풀어낸다. 2부에서는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현재까지의 과거사 정리정책 및 청산운동을 역사적으로 평가한다. 3부에서는 과거사 청산이 사회화로 진전하기 위한 조건과 방향을 정리하였다. 4부에서는 세계의 과거사 청산 사례를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