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통합사회의 한국교육
통합사회의 한국교육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25407920 93370 : \13,000
- DDC
- 306.43-20
- 청구기호
- 306.43 고29ㅌ
- 단체저자
- 고려대학교 교육사회학연구회
- 서명/저자
- 통합사회의 한국교육 / 고려대학교 교육사회학연구회 저.
- 발행사항
- 파주 : 교육과학사, 2014.
- 형태사항
- 301 p. : 삽화, 도표 ; 24 cm.
- 주기사항
- 기증: 중부대학교 조흥순 교수(EM0388737)
- 주기사항
- 집필자: 차갑부, 손준종, 성열관, 황기우, 박진규, 오승근, 백영균, 홍영란, 손영민, 이정의
- 서지주기
- 참고문헌(p. 271-293)과 색인(p. 295-301)수록
- 기타저자
- 차갑부
- 기타저자
- 손준종
- 기타저자
- 성열관
- 기타저자
- 황기우
- 기타저자
- 박진규
- 기타저자
- 오승근
- 기타저자
- 백영균
- 기타저자
- 홍영란
- 기타저자
- 손영민
- 기타저자
- 이정의
- 전자적 위치 및 접속
- 로그인을 한후 보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 가격
- \13,000
- Control Number
- joongbu:621190
- 책소개
-
오늘날의 사회는 변화를 핵심으로 하여 복잡한 문제들이 얽혀 있다. 변화의 속도나 폭은 가히 급진적이라고 할 정도로 빠르고도 폭이 넓다. 글로벌화로 인하여 우리의 눈이 지구 전체로 향하고 있으며, 단일민족을 자랑하던 우리나라에서 다문화의 문제가 현실인 문제로 등장하였다.
고령사회를 목전에 두고 있는 상황에서 고령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 경제, 심리적 문제에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인터넷 중독 등 청소년 문제도 교육의 손길을 기다리고 있다. 이렇게 복잡한 문제들이 얽힌 사회에서 통합을 지향하는 방법론에 눈을 돌려 통합사회의 한국교육이란 제목의 책을 내 놓게 되었다. 이러한 시도는 획일사회로 되돌리자는 의미가 아니라, 여러 부문으로 갈라진 한국사회를 교육을 통하여 어느 한 곳이 억눌리거나 소외되지 않고 함께 상생하면서 나아가야 한다는 의미가 함의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