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조선시대 공주와 부마
조선시대 공주와 부마 / 한형주 지음
Inhalt Info
조선시대 공주와 부마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91167970527 93910 : \25,000
DDC  
390.09519-20
청구기호  
951.5 한94ㅈ
저자명  
한형주 , 1965- , 韓亨周
서명/저자  
조선시대 공주와 부마 / 한형주 지음
발행사항  
고양 : 국학자료원, 2022
형태사항  
282 p. : 삽화, 계보 ; 23 cm
총서명  
조선 왕실 문화의 제도화 양상 연구 ; 3
주기사항  
국학자료원·새미·북치는마을·LIE는 국학자료원 새미의 브랜드임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기금정보  
2013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학진흥사업단)의 한국학총서(왕실문화총서)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AKS-2013-KSS-1230006)
일반주제명  
조선 시대[朝鮮時代]
일반주제명  
공주(왕족)[公主]
통일총서명  
조선 왕실 문화의 제도화 양상 연구 ; 3
가격  
\25,000
Control Number  
joongbu:620870
책소개  
이 책의 제목은 조선시대 공주와 부마이다. 전근대 사회에서 가장 존귀한 혈통인 왕의 딸인 공주와 그 공주와 혼인이라는 과정을 통하여 왕실 구성원이 되었던 부마라는 인물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은 것이다. 이 책은 [경국대전] 이라는 조선 초기의 법전에 규정되어 있는 공주와 부마의 제도가 고려시대 이래의 방식과 어떻게 다른 가를 살펴보고 그것이 조선후기에 이르러 어떻게 변화했는가를 검토해 보는데서 시작한다. 그리고 여필종부라는 유교적 규범이 전반적으로 지배되는 조선사회에서 어떻게 공주라는 그들만의 독특한 지위를 가지고 부마보다도 더 활발하게 활동하면서 왕실과 밀접한 연결을 가지면서 정치·사회적 활동을 시행했는가를 일반 여성과 비교하면서 찾아 보았다.
지금까지의 공주와 부마에 대한 연구는 대다수 공주 일상을 흥미 위주로 서술하였고, 부마도 제도적인 정비와 실제의 생애가 맞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이에 공주와 부마의 지위와 역할은 유교적이고 가부장적인 제도화를 기반으로 마련되었지만 실제 운영과정에서 여성 중심, 비유교적인 탈제도적 성격이 적지 않게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공주와 부마의 존재 양상과 일상적인 삶의 모습을 조선시대 전체의 내용과 각 시대별 사례를 아우르도록 기획하였다.
구체적인 내용은 공주 제도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를 기반으로, 공주의 일생의례(관·혼·상·제)를 통하여 삶의 방향을 토로하고, 공주와 부마의 정치적 행동과 그 결과로 인한 부귀와 몰락의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공주의 시댁과 친정의 가족관계 등을 검토하고, 공주의 배우자인 부마의 가문과 활동, 그리고 그들의 일상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공주의 자식 그중에서도 아들들의 활약 등을 검토하여 공주의 전반적인 내용을 모두 다루었다.
New Books MORE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Buch Status

  • Reservierung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Meine Mappe
Sammlungen
Registrierungsnummer callnumber Standort Verkehr Status Verkehr Info
EM0392766 951.5 한94ㅈ 고양캠퍼스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EM0392767 951.5 한94ㅈ c.2 고양캠퍼스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Kredite nur für Ihre Daten gebucht werden. Wenn Sie buchen möchten Reservierungen, klicken Sie auf den Button.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Related books

Related Popular Books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