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현대 포퓰리즘 = Modern populism : 유럽과 한국
현대 포퓰리즘 = Modern populism : 유럽과 한국 / 정병기 ; 도묘연 ; 고주현 ; 오창룡 ; 김찬우...
내용보기
현대 포퓰리즘 = Modern populism : 유럽과 한국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88975818479 93340 : \25,000
DDC  
320.5662-20
청구기호  
320.5662 정44ㅎ
저자명  
정병기 , 1966- , 鄭柄基
서명/저자  
현대 포퓰리즘 = Modern populism : 유럽과 한국 / 정병기 ; 도묘연 ; 고주현 ; 오창룡 ; 김찬우 지음
발행사항  
경산 : 영남대학교출판부, 2021
형태사항  
432 p. : 삽화, 도표 ; 24 cm
주기사항  
2022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교육부 우수학술도서
주기사항  
권말부록: 제8장 실증 조사에 활용한 설문 문항 등
기금정보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일반주제명  
민중 주의[民衆主義]
기타저자  
도묘연
기타저자  
고주현 , 1973- , 高珠顯
기타저자  
오창룡 , 1975- , 吳昌龍
기타저자  
김찬우 , 1977- , 金讚宇
전자적 위치 및 접속  
로그인을 한후 보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가격  
\25,000
Control Number  
joongbu:620090
책소개  
정치가 시민의 의사를 대변하도록 개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포퓰리즘 연구가 필요
2000년대 이후 세계 각국에서 보호 무역주의가 등장하고, 다양하게 생겨난 사회 운동과 갈등이 포퓰리즘과 결합하는 등 포퓰리즘은 날로 심화되고 있다. 하지만 포퓰리즘의 실체적 속성과 최근 변화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정당 체제의 위기에 따른 변화를 전망하고 미래 정치의 예측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유권자의 새로운 경향을 면밀하게 추적하여 정치 체제가 시민의 의사를 제대로 대변하도록 개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서도 포퓰리즘에 대한 연구는 필요하다. 이 책은 최근 포퓰리즘이 강화되고 변화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한국과 유럽의 국가들을 분석하였다. 특히 한국의 포퓰리즘적 흐름에 대해 상세하게 다루고 있다.

포퓰리즘이 강화되고 변화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한국과 유럽의 국가들을 분석
1부는 포퓰리즘 개념에 대한 오해를 바로잡기 위해 개념 설명과 함께 역사적 변천에 따른 포퓰리즘의 유형과 속성을 소개하였다. 2부는 유럽의 국가들 가운데 신포퓰리즘이나 포스트포퓰리즘이 강하게 등장한 프랑스와 이탈리아, 스페인을 사례로 다루었다. 정치 문화로 보더라도 우리와 상대적으로 비슷한 나라들이다. 프랑스는 신포퓰리스트가 강화되면서 포스트포퓰리즘적 성격으로 변해가는 조짐이 보이며, 이탈리아는 포스트포퓰리스트가 급부상해 집권까지 했고, 스페인은 신포퓰리스트와 포스트포퓰리스트가 동시에 큰 세력으로 급부상했던 사례들을 다각도로 살펴보고 있다.
3부에서는 한국의 포퓰리즘에 대해 분석했다. 포퓰리즘 공방의 형성과 성격, 뉴스와 댓글을 빅데이터로 분석한 포퓰리즘의 모습, 시위 참가 및 이념별·유형별 특성에 따른 포퓰리즘 성향을 다루고 있다. 유럽과 달리 포퓰리즘이 정당 형태로 등장하지 않았기 때문에 주요 사안별로 살펴보았다. 사회 네트워크 분석과 빅데이터 분석, 설문 조사 분석 등 다양한 접근 방법을 통해 포퓰리즘을 입체적으로 규명하였다.

균열 이론을 재구성하고 정동 이론을 원용해 포퓰리즘의 새로운 양상을 분석한 결과물
최근 일어나고 있는 포스트포퓰리즘 현상은 정당의 존속 자체에 심각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저자들은 사회 균열, 정치 균열, 정당 균열로 구분하여 정치와 사회 전반에 걸친 새로운 균열 이론을 정립하고 이를 포퓰리즘 현상에 적용했다. 또한 2000년대 이후 기존의 집단적 정체성보다는 일시적이고 제한적 이슈에 대한 개인적 분노가 사회적으로 분출하면서 개인의 정동(affect)에 따라 투표하는 현상을 통해 포퓰리즘의 새로운 양상을 분석하려고 시도했다. 포퓰리즘이 변화하는 데는 유권자들의 투표 행태 변화가 중요한 변수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현대의 신포퓰리즘과 포스트포퓰리즘(postpopulism)을 살펴보면서 사안별로 상세히 분석했고 이를 바탕으로 모든 사례에서 민주주의 전망을 함께 논의했다. 이처럼 이 책은 균열 이론을 재구성하고 정동 이론을 원용해 포퓰리즘의 새로운 양상을 분석한 결과물이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나의폴더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EM0386595 320.5662 정44ㅎ c.2 충청캠퍼스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EM0386596 320.5662 정44ㅎ c.3 충청캠퍼스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EM0392416 320.5662 정44ㅎ 고양캠퍼스 기증도서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