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한국 근대문화와 민족운동
한국 근대문화와 민족운동 / 최기영 지음
한국 근대문화와 민족운동

상세정보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88949966106 93910 : \27,000
DDC  
951.902-20
청구기호  
951.6 최18ㅎ
저자명  
최기영 , 1957- , 崔起榮
서명/저자  
한국 근대문화와 민족운동 / 최기영 지음
발행사항  
파주 : 경인문화사, 2021
형태사항  
xi, 356 p. : 삽화 ; 24 cm
총서명  
경인한국학연구총서 ; 180
주기사항  
2022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도서
주기사항  
색인 수록
일반주제명  
한국 근대사[韓國近代史]
일반주제명  
한국 민족 운동[韓國民族運動]
통일총서명  
경인한국학연구총서 ; 180
전자적 위치 및 접속  
로그인을 한후 보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가격  
\27,000
Control Number  
joongbu:619844
책소개  
한말, 일제강점기의 근대문화와 민족운동

이 책은 ‘한말과 일제강점기의 근대문화와 민족운동’이라는 공통주제 안에 다양한 주제들을 다루었다.
먼저 제1부에서는 한말 근대문화의 수용으로, 전통사회와는 다른 법률체계를 수용의 출발점이었던 법관양성소와 근대적 개념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인 한말 사회에서 논의된 ‘국민’과 ‘민족’의 전통적 용어를 살펴본다.
제2부에서는 한말에 전개된 민족운동으로 신문의 움직임과 함께, 헤이그 특사 중 한명인 이준과 한말교육과 계몽에 진력한 선각자 최광옥의 예시를 검토함으로 계몽운동의 여러 양상을 서술하고 있다.
제3부에서는 1910년대의 국학 연구의 동향과 정열모의 어문민족주의를 통하여 일제강점기의 국학 연구를 다루었다.
제4부에서는 외래종교의 정착이라는 주제로 개신교가 한국 사회에 정착되는 사례로 김구의 경우를 살펴보았으며, 뮈텔 주교의 한국 인식과 베네딕도회 관할의 연길교구에서 발간한 「가톨릭소년」을 통해 천주교의 정착 양상을 찾고자 했다.

MARC

 008221130s2021        ggka                    001c    kor
■020    ▼a9788949966106▼g93910▼c\27,000
■035    ▼a(KERIS)BIB000016031809
■08204▼a951.902▼220
■090    ▼a951.6▼b최18ㅎ
■1001  ▼a최기영▼g崔起榮▼d1957-
■24510▼a한국  근대문화와  민족운동▼d최기영  지음
■260    ▼a파주▼b경인문화사▼c2021
■300    ▼axi,  356  p.  ▼b삽화▼c24  cm
■49010▼a경인한국학연구총서▼v180
■50000▼a2022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도서
■500    ▼a색인  수록
■650  8▼a한국  근대사[韓國近代史]
■650  8▼a한국  민족  운동[韓國民族運動]
■830  0▼a경인한국학연구총서▼v180
■85641▼3Table  of  Contents▼uhttp://www.riss.kr/Keris_abstoc.do?no=16031809
■9500  ▼b\27,000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신착도서 더보기
    관련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나의폴더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EM0387748 951.6 최18ㅎ 충청캠퍼스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EM0387749 951.6 최18ㅎ c.2 충청캠퍼스 대출실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