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조선 초·중기 불교와 유교의 심성론과 상호인식 연구
조선 초·중기 불교와 유교의 심성론과 상호인식 연구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67420473 93150 : \34,000
- DDC
- 210-20
- 청구기호
- 294.301 박73ㅈ
- 서명/저자
- 조선 초·중기 불교와 유교의 심성론과 상호인식 연구 / 박정원 지음
- 발행사항
- 서울 : 역락, 2021
- 형태사항
- 379 p. ; 23 cm
- 총서명
- 이화연구총서 ; 30
- 주기사항
- 2022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도서
- 서지주기
-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 기금정보
- 한국연구재단의 연구지원과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의 출판지원으로 이루어짐
- 일반주제명
- 종교 철학[宗敎哲學]
- 일반주제명
- 불교[佛敎]
- 일반주제명
- 유교[儒敎]
- 기타저자
- 박정원
- 통일총서명
- 이화연구총서 ; 30
- 전자적 위치 및 접속
- 로그인을 한후 보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 가격
- \34,000
- Control Number
- joongbu:619796
- 책소개
-
조선 초ㆍ중기에 해당하는 15세기부터 17세기는 ‘유교’라는 새로운 통치이념이 전면에 등장하고 유교적 관례가 사회제도로 정착되어갔던 시기이다. 그런 만큼 이 시기에 대한 우리의 관심은 주로 건국 초기 유교의 정치이념을 구축한 정도전의 사상이나 유교가 조선성리학으로 재정립되는 과정에서 중심적 역할을 한 이황의 심성론, 그리고 그에 대비되는 견해를 가졌던 기대승이나 이이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러나 어떠한 시대도 마찬가지이지만 한 시대를 오직 하나의 특정한 사상의 눈으로 파악하게 되면 그 사회의 생생한 현실적 모습을 포착하지 못하고 추상화시킬 위험이 존재한다. 아무리 유교 사상이 유행하고 지배적인 모습이 된 시기라고 하더라도 이 시기를 이렇게 획일적인 모습으로 이해하는 것은 바른 이해가 아니다.
이 연구에서는 조선 불교인들과 유교인들이 어떤 심성 논의를 하고 있으며 그들의 심성 논의에 따라 서로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것을 1차적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알아내고 싶었던 것은 다음의 의문에 대한 대답이었다. 유교와 불교는 과연 그렇게 다른 것일까? 오늘날 우리가 당연하게 생각하는 것처럼 과연 조선의 유교인과 불교인들도 서로에 대해 다른 것으로 생각했을까?
Подробнее информация.
- Бронирование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моя папка
Reg No. | Количество платежных | Местоположение | статус | Ленд информации |
---|---|---|---|---|
EM0387662 | 294.301 박73ㅈ | 충청캠퍼스 대출실 | 대출가능 |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EM0387663 | 294.301 박73ㅈ c.2 | 충청캠퍼스 대출실 | 대출가능 |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 Бронирование доступны в заимствований книги. Чтобы сделать предварительный заказ, пожалуйста, нажмите кнопку бронировани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