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새로운 사회적 자유주의 : 한국 사회, 미래 정치의 길을 묻다
새로운 사회적 자유주의 : 한국 사회, 미래 정치의 길을 묻다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92092027 93300 : \29,000
- DDC
- 320.01-20
- 청구기호
- 320.513 문54ㅅ
- 저자명
- 문성훈
- 서명/저자
- 새로운 사회적 자유주의 : 한국 사회, 미래 정치의 길을 묻다 / 문성훈 지음
- 발행사항
- 고양 : 사월의책, 2022
- 형태사항
- 596 p. ; 23cm
- 일반주제명
- 경쟁 사회[競爭社會]
- 일반주제명
- 자유주의[自由主義]
- 일반주제명
- 협력 사회[協力社會]
- 일반주제명
- 정치철학[政治哲學]
- 가격
- \29,000
- Control Number
- joongbu:619696
- 책소개
-
자유를 다시 생각한다
경쟁을 위한 자유인가, 협력을 위한 자유인가?
오늘날 우리네 삶은 가히 경쟁 사회라 부를 수 있을 만큼 거의 모든 사회 영역이 경쟁으로 점철되어 있다. 대학을 마치면 취업을 위해 경쟁하고, 사업가가 되어도 경쟁하고, 자영업자가 되어도 경쟁하고, 생산자든 판매자든 소비자든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서는 남보다 우위에 서기 위해 경쟁해야 한다. 경쟁이 승자와 패자를 나누고 소수의 자유와 대다수의 부자유를 낳는 방식으로 진행된다면, 경쟁 일변도의 사회는 결코 좋은 사회가 아니다. 경쟁을 당연한 것으로 전제하고, 단지 경쟁을 제한하거나 경쟁이 초래한 부정적 결과만을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경쟁 영역 자체를 축소하고 우리 사회를 협력적으로 재구조화하려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것은 아닐까?
이 책 『새로운 사회적 자유주의』는 신자유주의 경쟁 사회의 한계를 넘어서 협력 사회로 나아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정치철학책이다. 그러나 아무런 대안도 제시하지 않고 그저 비판만을 늘어놓는 데 그치지 않는다. 고전적 자유주의 시대부터 시작된 경쟁 사회의 자기 모순적 관념을 하나하나 논파하고, 과거의 사회주의나 사회적 자유주의의 한계를 정확히 짚어내면서 ‘새로운 사회적 자유주의’라는 대안적 정치이념을 일목요연하게 제시한다. 나아가 단순히 철학 담론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대한민국 헌법을 둘러싼 여러 정치 담론을 세밀히 분석하고, 인간의 사회성에 기초한 새로운 자유 개념인 ‘사회적 자유’ 개념을 제안하고, 사회적 경제 담론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면서 실질적인 대안의 비전도 그려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