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발해 고고학
발해 고고학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63474830 93900 : \40,000
- DDC
- 951.901-20
- 청구기호
- 951.36 강94ㅂ
- 저자명
- 강현숙 , 1959- , 姜賢淑
- 서명/저자
- 발해 고고학 / 강현숙 ; 송기호 ; 양시은 ; 정석배 ; 최종택 지음 ; 중앙문화재연구원 엮음
- 기타표제
- [대등표제]Balhae archaeology
- 발행사항
- 과천 : 진인진, 2021
- 형태사항
- 413 p. (일부접지) : 삽화(일부천연색) ; 26 cm
- 총서명
- 중앙문화재연구원 학술총서 ; 46
- 주기사항
- 2022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도서
- 주기사항
- 권말부록 수록
- 서지주기
- 참고문헌 수록
- 일반주제명
- 고고학[考古學]
- 일반주제명
- 유물(문화재)[遺物]
- 일반주제명
- 유적[遺蹟]
- 주제명-지명
- 발해(국명)[渤海]
- 기타저자
- 송기호 , 1956- , 宋基豪
- 기타저자
- 양시은 , 1975- , 梁時恩
- 기타저자
- 정석배 , 1965- , 鄭焟培
- 기타저자
- 최종택 , 1964- , 崔鍾澤
- 기타저자
- 중앙문화재연구원
- 통일총서명
- 중앙문화재연구원 학술총서 ; 46
- 전자적 위치 및 접속
- 로그인을 한후 보실 수 있는 자료입니다.
- 가격
- \40,000
- Control Number
- joongbu:619670
- 책소개
-
『발해고고학』은 45권 『고구려고고학』의 후속작업 격으로서, 기존의 저자 3인에 문헌사 연구자와 러시아 유적 연구자가 추가로 참여하여 작업한 성과인 것입니다.
『발해고고학』은 모두 8개의 장으로 구성되었습니다. 1장 개관은 문헌사 연구자인 송기호 교수가 발해사 전반을 개괄하고 발해고고학 연구현황을 개관함으로써 발해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기본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였습니다. 2장에서 6장까지는 발해의 유적을 도성, 성곽, 건축과 고분으로 나누어 발해 고고학 조사성과와 연구현황을 정리했습니다. 7장은 발해의 유물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설명했고, 8장을 러시아 연해주 일대의 고고학 조사와 연구성과를 따로 정리했습니다. 8장은 발해 고고학 연구의 현황과 향후 전망, 과제 등을 논의하면서 책을 마무리합니다.
송기호 명예교수는 1장과 2장 1,2절에서 발해사 전반과 통치제도, 도성의 변천사 관련부분을 저술했고, 양시은 교수는 2장 3절 도성의 구조와 특징, 3장 성곽, 4장 건축에 속하는 유적들을 망라해서 정리했습니다. 강현숙 교수는 5장 고분과 8장 전망과 과제를 담당했으며, 6장 유물은 최종택 교수가 정리했습니다. 7장 연해주의 발해 고고학은 정석배 교수가 총괄 정리했습니다.
『발해고고학』은 2010년대부터 시작된 작업을 일단락하는 개설서이지만, 중국, 북한, 러시아 연해주에 걸쳐 넓은 지역에 존재했던 발해의 문화와 역사는 아직도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더 많이 남아 있는 형편입니다. 발해는 고구려를 계승했고, 통일신라와 함께 남북국 시대에 존재했으며, 고려에 그 흔적을 남긴 우리 역사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발해고고학』을 계기로 객관적이고 종합적인 시각에서 북한, 중국, 러시아 연해주의 고고자료를 망라하고, 조사 보고된 자료의 정리, 검토와 재평가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