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생체공학
생체공학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56926023 93550 : \37,000
- DDC
- 660.6-20
- 청구기호
- 660.6 정75ㅅ
- 저자명
- 정종훈
- 서명/저자
- 생체공학 / 정종훈 대표저자
- 기타표제
- [대등표제]Bioengineering
- 발행사항
- 서울 : 문운당, 2022
- 형태사항
- ix, 566 p. : 천연색삽화, 도표 ; 26 cm
- 주기사항
- 2022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도서
- 주기사항
- 공동저자: 김근형, 김장호, 김재은, 김정실, 김홍배, 박상배, 박선호, 선우훈, 이명철, 이형진, 임기택, 장경제, 정세웅, 정연훈, Pankaj Garg, Shambhavi Pandey, Jin-Woo Kim, Gurshagan Kandhola
- 주기사항
- 찾아보기: p. 562-566
- 서지주기
- 각 장마다 참고문헌 수록
- 기타저자
- 김근형
- 기타저자
- 김장호
- 기타저자
- 김재은
- 기타저자
- 김정실
- 기타저자
- 김홍배
- 기타저자
- 박상배
- 기타저자
- 박선호
- 기타저자
- 선우훈
- 기타저자
- 이명철
- 기타저자
- 이형진
- 기타저자
- 임기택
- 기타저자
- 장경제
- 기타저자
- 정세웅
- 기타저자
- 정연훈
- 기타저자
- Garg, Pankaj
- 기타저자
- Pandey, Shambhavi
- 기타저자
- Kim, Jin-Woo
- 기타저자
- Kandhola, Gurshagan
- 기타저자
- 김진우
- Control Number
- joongbu:619514
- 책소개
-
2004년 미국농공학회가 바이오공학 분야를 학회 명칭에 반영함으로써 ‘Americ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Biological Engineers’으로 변경되었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도 2005년부터 농업기계공학과가 바이오시스템공학과로 전환되기 시작하면서 현재 대부분의 대학들이 바이오공학 분야를 도입하면서 바이오시스템공학, 바이오시스템기계공학 또는 생물산업기계공학으로 전환된 상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이오공학 또는 생체공학 전문 서적이 한 권도 없었는데, 이번에 학회 차원에서 생체공학 교재를 집필하게 되었다.
본 도서는 바이오시스템공학 측면에서 바이오공학을 포괄적으로 소개하는 차원에서 근골격계 생체역학, 세포 및 조직 생체역학, 생체재료, 생체조직공학, 나노공학 그리고 응용기술의 6개의 분야로 나누어 집필하였다.
첫 번째 분야는 근골격계 생체역학(Musculoskeletal Biomechanics)으로, 제1장 근골격계 생체역학의 개요, 제2장 근골격계의 부위별 생체역학 그리고 제3장 생체역학의 농업 적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분야에서는 뼈와 근육과의 관계 등의 기본적인 역학을 설명하고, 요추의 생체역학 그리고 생체역학의 농업 적용에 대해 다루고 있다.
두 번째 분야는 세포 및 조직 생체역학(Cell & Tissue Biomechanics)으로, 제4장 광 자극기술, 제5장 전자기장 자극기술, 제6장 미세전류 자극기술, 제7장 초음파 자극기술 그리고 제8장 고전압 자극기술로 구성되어 있다. 이 분야에서는 줄기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촉진하는 여러 종류의 물리적 자극기술의 원리 및 효과에 대해 주로 설명하고 있다.
세 번째 분야는 생체재료(Biomaterials)로, 제9장 고분자 생체재료, 제10장 세라믹 생체재료, 제11장 금속 생체재료 그리고 제12장 복합 생체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이 분야에서는 조직공학 분야에서 지지체 제작 시 요구되는 천연 또는 합성 고분자, 바이오세라믹 소재, 생체적합한 금속 및 복합 생체재료에 대해 다루고 있다.
네 번째 분야는 생체조직공학(Tissue Engineering)으로, 제13장 세포, 제14장 지지체(Scaffolds), 제15장 바이오리액터, 제16장 골(Bone) 조직공학 그리고 제17장 고막(Eardrum) 조직공학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섯 번째 분야는 나노공학(Nano Engineering)으로, 제18장 탄소 기반 나노소재, 제19장 나노전달체는 유전자 전달체와 약물 전달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제20장 농업응용 나노기술로 구성되어 있다.
여섯 번째 분야는 응용기술(Application Technology)로, 제21장 전기방사 기술, 제 22장 3D 프린팅 기술, 제23장 바이오프린팅 기술로 구성되어 있다.
생체역학, 생체재료, 조직공학, 나노공학, 응용기술 등의 주요 분야를 포괄하고 있는 본서가 바이오공학을 분야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