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국가생물다양성 전략-관리지표-이행평가-실효성평가-통합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
국가생물다양성 전략-관리지표-이행평가-실효성평가-통합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59805202 93530 : \9,000
- 언어부호
- 본문언어 - kor , 요약문언어 - eng
- DDC
- 363.7-20
- 청구기호
- 570.951 구14ㄱ
- 저자명
- 구경아
- 서명/저자
- 국가생물다양성 전략-관리지표-이행평가-실효성평가-통합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 / 한국환경연구원 [편] ; 구경아 [외] 지음.
- 기타표제
- [대등표제]Developing an integrated System for the comprehensive management of national biodiversity strategies and action plans, management indicators, implementation assessment, and effectiveness assessment
- 발행사항
- 세종 : 한국환경연구원, 2021.
- 형태사항
- xiv, 187 p. : 천연색삽화, 표 ; 25 cm.
- 총서명
- KEI 연구보고서 ; 2021-05
- 주기사항
- 공저자: 차은지, 이재호, 김민정, 주우영
- 서지주기
- 참고문헌 수록
- 기타저자
- 차은지
- 기타저자
- 이재호
- 기타저자
- 김민정
- 기타저자
- 주우영
- 기타저자
- 한국환경연구원
- 통일총서명
- 연구보고서(KEI) ; 2021-05
- 기타저자
- Korea Environment Institute.
- 가격
- \9,000
- Control Number
- joongbu:616574
- 책소개
-
이 책은 한국환경연구원의 국가생물다양성 전략-관리지표-이행평가-실효성평가 통합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를 다룬 정부간행물이다.
연구의 목적
본 연구에서는
1.Post-2020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 수립에 따른 국가생물다양성전략 및 관리지표의 개선 방향 제시,
2.국가생물다양성전략 이행평가 및 실효성평가를 위한 평가방법의 적용 방안 및 이의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갱신을 위한 관리 방안 제시,
3.생물다양성협약 대응 및 지속가능한 국가생물다양성 관리를 위하여 전략, 관리지표, 이행평가, 실효성평가를 종합적이고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MARC
008220923s2021 sjkad b 000c kor■020 ▼a9791159805202 ▼g93530▼c\9,000
■035 ▼a(KERIS)BIB000016231104
■0411 ▼akor ▼beng
■08204▼a363.7▼220
■090 ▼a570.951▼b구14ㄱ
■1001 ▼a구경아
■24510▼a국가생물다양성 전략-관리지표-이행평가-실효성평가-통합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d한국환경연구원 [편] ▼e구경아 [외] 지음.
■24611▼aDeveloping an integrated System for the comprehensive management of national biodiversity strategies and action plans, management indicators, implementation assessment, and effectiveness assessment
■260 ▼a세종▼b한국환경연구원▼c2021.
■300 ▼axiv, 187 p. ▼b천연색삽화, 표▼c25 cm.
■49010▼aKEI 연구보고서▼v2021-05
■500 ▼a공저자: 차은지, 이재호, 김민정, 주우영
■504 ▼a참고문헌 수록
■7001 ▼a차은지
■7001 ▼a이재호
■7001 ▼a김민정
■7001 ▼a주우영
■710 ▼a한국환경연구원
■830 0▼a연구보고서(KEI)▼v2021-05
■910 0▼aKorea Environment Institute.
■9500 ▼b\9,000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Buch Status
- Reservierung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Meine Map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