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사유하는 목소리, 하카 음악의 여성성 : 현대 대만 대중문화와 여성적 주체
사유하는 목소리, 하카 음악의 여성성 : 현대 대만 대중문화와 여성적 주체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91189652913 94300 : \14,000
- ISBN
- 9791189652432(세트)
- 언어부호
-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eng
- DDC
- 338.48-20
- 청구기호
- 780.91524 나63h신
- 저자명
- 나애미 , 羅愛湄
- 서명/저자
- 사유하는 목소리, 하카 음악의 여성성 : 현대 대만 대중문화와 여성적 주체 / 뤄아이메이 지음 ; 신봉아 옮김
- 기타표제
- [원표제]Hakka music and female representation in contemporary Taiwanese popular culture
- 발행사항
- 광주 : ACC(국립아시아문화전당), 2021
- 형태사항
- 125 p. : 천연색삽화 ; 22 cm
- 총서명
- 교차하는 아시아 ; 04
- 주기사항
- 원저자명: 羅愛湄
- 주기사항
- 권말부록: 뤄쓰룽 음반의 가사/시 해설
- 기금정보
- 저본이 된 논문은 2018년 정부(문화체육관광부)의 재원으로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 일반주제명
- 여성 문화[女性文化]
- 일반주제명
- 대중 문화[大衆文化]
- 주제명-지명
- 대만(국명)[臺灣]
- 기타저자
- 뤄아이메이
- 기타저자
- 신봉아
- 통일총서명
- 교차하는 아시아 ; 04
- 기타저자
- 라애미 , 羅愛湄
- 가격
- \14,000
- Control Number
- joongbu:616454
- 책소개
-
노래는 여성적 주체의 표현으로서 오랫동안 효과적으로 쓰여왔다. 하카족客家族의 음악은 특히 하카 여성들의 목소리를 잘 드러내어 주목받았으나, 가부장제와 여성 노동 아래 고통받는 여성들을 재현하는 데 그친다는 한계가 있다. 현대 대만의 싱어송라이터 뤄쓰룽羅思容은 하카 음악을 현대적으로 갱신하여 하카 음악의 다양한 여성성을 모색하고, 비판적 사유를 불러일으키는 여성 예술가의 ‘사유하는 목소리’를 드러낸다. 이 책은 소수민족/여성이라는 소수집단의 전형성과 고정된 젠더 정체성을 전복하고 여성성을 재구성하는 현대 하카 음악을 대만의 근대화와 대중문화의 맥락 속에서 살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