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의궤로 본) 조선시대 궁중연향 문화
(의궤로 본) 조선시대 궁중연향 문화
상세정보
- 자료유형
- 단행본
- ISBN
- 9788928517077 93380 : \59,000
- DDC
- 390.09519-20
- 청구기호
- 951.5 김75조
- 저자명
- 김종수 , 1956- , 金鍾洙
- 서명/저자
- (의궤로 본) 조선시대 궁중연향 문화 / 김종수 지음
- 발행사항
- 서울 : 민속원, 2022
- 형태사항
- 628 p. : 삽화(일부천연색) ; 24 cm
- 총서명
- 한국연구총서 ; 104
- 총서명
- 민속원 ; 1983
- 주기사항
- 2022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교육부 우수학술도서
- 주기사항
- 권말부록: 1. 1829년(순조 29) 2월 내진찬 정재여령 ; 2. 1873년(고종 10) 내진작 정재여령 ; 3. 1892년(고종 29) 내진찬 정재여령
- 서지주기
-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 일반주제명
- 연향[宴享]
- 일반주제명
- 조선 시대[朝鮮時代]
- 통일총서명
- 한국연구총서 ; 104
- 통일총서명
- 민속원 ; 1983
- 가격
- \59,000
- Control Number
- joongbu:616120
- 책소개
-
의례(儀禮)와 악가무(樂歌舞)가 행해지는 문화공간으로서의 궁중연향
예(禮)는 ‘인사(人事)의 당연한 법칙’으로 사회정의 또는 사회윤리를 가리키며, 의례는 인사(人事)의 당연한 법칙을 상징적인 행위로 표현한 것이다. 즉 의례에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마땅한 관계가 상징적인 행위로 표현되어 있다.
MARC
008220902s2022 ulka 001c kor■020 ▼a9788928517077▼g93380▼c\59,000
■08204▼a390.09519▼220
■090 ▼a951.5▼b김75조
■1001 ▼a김종수▼g金鍾洙▼d1956-
■24520▼a(의궤로 본) 조선시대 궁중연향 문화▼d김종수 지음
■260 ▼a서울▼b민속원▼c2022
■300 ▼a628 p. ▼b삽화(일부천연색)▼c24 cm
■49010▼a한국연구총서▼v104
■49010▼a민속원▼v1983
■500 ▼a2022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교육부 우수학술도서
■500 ▼a권말부록: 1. 1829년(순조 29) 2월 내진찬 정재여령 ; 2. 1873년(고종 10) 내진작 정재여령 ; 3. 1892년(고종 29) 내진찬 정재여령
■504 ▼a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650 8▼a연향[宴享]
■650 8▼a조선 시대[朝鮮時代]
■830 0▼a한국연구총서▼v104
■830 0▼a민속원▼v1983
■9500 ▼b\59,000
미리보기
내보내기
chatGPT토론
Ai 추천 관련 도서
Подробнее информация.
- Бронирование
- 캠퍼스간 도서대출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моя папка
Reg No. | Количество платежных | Местоположение | статус | Ленд информации |
---|---|---|---|---|
EM0385219 | 951.5 김75조 | 충청캠퍼스 보존서고(웅재관109호) | 대출가능 |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EM0386321 | 951.5 김75조 c.4 | 충청캠퍼스 보존서고(웅재관109호) | 대출가능 |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EM0391518 | 951.5 김75조 c.2 | 고양캠퍼스 대출실 | 대출가능 |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EM0392417 | 951.5 김75조 c.3 | 고양캠퍼스 기증도서 | 대출가능 |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 Бронирование доступны в заимствований книги. Чтобы сделать предварительный заказ, пожалуйста, нажмите кнопку бронирование